무력갈등예방국제연대 토론회 금강산서 열려

동북아시아 6개국의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2일 금강산에서 열린 무력갈등예방국제연대(GPPAC) 협의회 토론회에서 지역의 평화정착을 위해서는 비정부기구(NGO)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회에서 일본 피스보트의 공동대표인 요시오카 타츠야씨는 "동북아시아 각국은 여전히 냉전구조 속에서 대립을 계속하고 있다"며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국제기구, 정부, 시민사회 간 협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또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의 심영희 대표는 "금강산은 남북 화해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크다"며 "동북아시아는 국가 간 다양한 갈등을 안고 있는 만큼 각국의 시민단체가 한자리에 모여 갈등예방에 대해 협의하는 자체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발제를 맡은 서동만 상지대 교수는 6자회담이 북핵문제를 관리하는 데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고 동북아시아 안보틀로 확대될 필요도 있다면서 "6자회담과 함께 남북 민간교류도 한반도 긴장완화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베이징에서 평화와 군축을 위한 활동을 펴고 있는 페이 용이씨는 "강대국의 이해관계가 밀집해 있는 한반도는 냉전 후 힘의 균형이 깨지면서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며 미국의 대북 봉쇄정책, 한반도 핵문제, 미국과 일본의 미사일방어(MD)체제 구축 등을 지역의 불안정 요인으로 꼽았다.

엥사이칸 자르갈사이칸 전 몽골 유엔대사는 "시민사회는 정부의 정책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전제한 뒤 "6자회담은 기본적으로 정부 간 협의틀이지만 이제 그런 틀에서 벗어나 지역 NGO가 긍정적인 역할을 할 때"라고 기대했다.

이어 일본 리츠메이칸(立命館) 대학의 키미지마 아키히코 교수는 동북아 안보를 위한 동북아 시민사회 공동체와 함께 '평화 인프라' 구축을 강조했고 코다마 가츠야미에(三重)대학 교수는 지역의 핵확산을 막기 위한 NGO와 정부 간 대화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2일부터 사흘간 계속되는 이번 협의회에는 한국과 일본, 중국, 대만, 러시아, 몽골 등 시민단체 관계자와 안보 전문가 30여명이 참여해 북핵과 6자회담, 일본 평화헌법 개정 등의 문제를 논의한다.

무력갈등 국제연대는 2001년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의 발의로 각 지역에서 결성되기 시작했으며 동북아시아 지역 국제연대는 2004년 2월 출범했다./금강산=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