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북핵 6자회담 의장성명에 나온 `핵과 여타 참여국의 관심사항을 상호 조율된 조치로 다뤄나간다'는 표현은 향후 회담의 의제와 해결방법을 포괄적으로 담아낸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해결방법을 언급한 것으로 보이는 `조율된 조치'는 북한이 그동안 요구해 온 `동시행동(simultaneous action)' 원칙을 어느 정도 흡수하는 표현으로 거론된 `조화된 조치(coordinated steps)'의 뜻을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문제는 `관심사항'의 내역. 이는 참가국 관심의 공통분모를 형성하는 핵 해결 문제 외에 국가별로 요구하는 사안들로 이번 회담의 다자 및 양자접촉을 통해 대강의 윤곽이 드러났다.

미국 입장에서는 고농축 우라늄(HEU) 문제가, 일본에게는 납치자 문제가 관심사항이었다. 미사일 문제도 들어갈 수 있다. `+ α'의 성격을 띠기 보다는 대부분 핵 문제와 맞물려 있는 것들이다. 북한으로서는 핵문제와 연결된 중유와 전력 등 에너지 지원과 각종 제재조치 해제, 미국과의 관계개선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가운데 상당 부분은 핵 해결의 로드맵에 포함되겠지만 2002년 10월 제임스 켈리 특사의 방북 당시 북핵사태의 발단이 된 HEU 문제는 북미간 입장이 평행선을 긋고 있어 이견 해소가 쉽지 않은 쟁점이다.

북한은 지난 1월 6∼10일 존 루이스 스탠퍼드대 교수가 이끄는 방북단에게 HEU 존재를 부인하며 2002년 10월 당시의 일을 `통역상 실수'로 돌렸다. 북한에 핵기술을 유출했다는 파키스탄 압둘 카디르 칸 박사의 `고백'이 나왔을 때도 "농축우라늄 계획설에 신빙성을 부여하려고 조작한 미국의 상투적 모략선전"이라며 일축했다.

일본인 납치자 문제 역시 일본의 끈질긴 가족송환 요구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이미 다 끝난 일"로 규정하고 6자틀내 협의대상이 아니라고 반박해 왔다.

게다가 지난 해 11월에는 일제가 식민지 시절 저지른 범죄행위에 대한 인권피해 보상을 협의하기 위해 북일 정부간 회담을 갖자고 맞불을 놓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 북한은 지난 11∼14일 일본 외무성 대표단 방북에 이어 이번 회담기간인 25일 이뤄진 일본과의 양자협의에서도 납치자 문제를 논의, 다자가 아닌 양자채널을 통해 접점을 모색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때문에 6자틀 내에서 납치자 문제가 논의될지 여부는 아직 불명확한 상황이다.

김연철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는 "HEU와 일본인 납치자 문제 등은 물론 북한의 요구사항이 거론되겠지만 논의의 우선순위를 어떻게 정할 지가 문제가 될 것"이라며 "워킹그룹도 과거 4자회담 때처럼 사안별로 분과가 구성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