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기업들이 대북투자 진출의 위험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소규모사업에서 시작해 북측 파트너와 신뢰를 구축한 뒤 SOC 확충, 제도적 장치 마련 등 여건과 변화환경에 대응하면서 점차 직접 투자로 발전시켜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영윤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5일 한국독일학회(회장 서병철)가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에서 주최한 2003년 정기학술회의에서 `남북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대북투자방안' 발제를 통해 "대북 투자가 성공화려면 투자의 불확실성과 리스크를 최소화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투자형태도 리스크가 작은 위탁 가공으로부터 출발해야 하며 지역선정에 있어서도 전력과 운송 등 산업기반 시설, 원.부자재 공급과 기술지도의 용이성, 물류비용 등을 고려해 리스크와 비용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입지선정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리스크 관리 차원이나 대북협상력 측면에서 볼 때 중소기업이 독자 진출하는 것보다는 자금.정보.협상력 등을 갖춘 대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공동진출이 유리하며, 중국이나 일본 조총련계 기업 등 외국기업과의 공동 진출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개성공단 등 북한의 특별개방지역에 단기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유망종목으로 "남한이 1960∼70년대 추진했던 것처럼 섬유.의류.신발.가죽.가방.완구.목재.출판.인쇄 등 노동집약적 분야와 전기.전자 제품조립 등의 경공업 분야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