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안하다" 반세기 그리움을 짧은 한 마디로 대신해야 했던 김신채(83) 할아버지.

평안남도 대동군 동암면 신흥리가 고향인 김 할아버지는 27일 반백이 된 아들을 껴안고 그리움보다는 미안함에 눈물을 삼켰다.

"사흘 뒤에 돌아오겠다"던 아들과의 약속을 지키지 못한 데 가슴이 저몄다.

무엇보다 동생들을 대신해 인민군에 자원 입대했다가 포로로 붙잡혔기에 북에 두고 온 아들에게는 더욱 미안했다.

밑으로 남동생 셋을 둔 김 할아버지가 동생들이 군대에 가기 싫다고 도망가자 1950년 7월 동생들을 대신해 인민군에 자진입대한 것.

이후 1년 남짓 인민군포로로 생활했던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아들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철조망을 뚫고 나왔지만 사흘이라던 약속은 53년이 지난 뒤에야 지킬 수 있게 됐다.

유독 아버지를 따랐던 아들 병선(60)에게 김 할아버지는 "평양을 떠날 때 기차역까지 따라와 가지말라며 내 바짓가랑이를 잡은 네 손을 떼어 낼 때는 내 마음도 찢어졌단다"라며 더이상 말을 잇지 못했다. 젖먹이였던 아들 병우(53)씨의 머리에는 어느 새 서리가 내려있었고 고왔던 아내 김화실(83)씨의 허리도 휘어져 있었다.

세월은 흘렀어도 김 할아버지 가슴에는 아내의 곱던 얼굴이 그대로였다.

그러나 김 할아버지는 "군대에 가기 싫다던 동생들이 38선을 넘으며 지뢰를 밟아 셋째동생은 저 세상으로 먼저 갔고 둘째동생은 포로수용소에서 재회했다"는 말로 아내에 대한 인사를 대신했다.

아내 화실씨 역시 "그대로시군요"라며 짤막하게 대답하며 어색해 했지만 부부는 맞잡은 손을 놓지 못했다.

김 할아버지는 이들에게 준비해간 시계를 건네며 "부모가 자식집에 가서 좀 쉬었다 오고 자식도 삶에 힘이 부칠 때 언제든지 부모를 찾아 올 수 있는 그 날이 오겠지, 이 시계 초침을 보며 다시 만날 날을 기다리자"며 끝내 눈시울을 붉혔다.

인민군으로 6·25전쟁에 참전했다가 1년여 거제도포로수용소에 있었던 김세곤(77)할아버지는 "어제 잠은 잘 잤냐"며 무엇보다 동생 해곤(66·여)씨와 정곤(63)씨의건강을 걱정했다.

평안북도 용편군에서 농사를 짓다가 인민군에 입대해 50년 9월 포로가 됐던 김할아버지는 아들 성일(56)씨에게 "아이는 몇이냐"며 핏줄부터 챙겼다.

성일(56)씨는 "워낙 어린 나이에 헤어져 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없지만 아버지를 보는 순간 알아볼 수 있었다"면서 "핏줄은 속일수 없다"며 눈물을 떨궜다.

한편 27일 상봉행사에는 이들 외에도 우영걸(75) 할아버지 등 거제도 수용소에서 포로로 있었던 세 명이 이산의 한(限)을 잠시나마 달랬다. /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