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북-미-중 3자회담에서 내놓은 북한의 `대범한' 제안에 대한 미국의 구체적인 대응방향 결정에는 다소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부시 행정부 내부의 분석.평가 작업이 아직 끝나지 않은 데다 미국이 주요 우방 및 관련국들과의 충분한 협의 입장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미국의 구체적인 대북대응 윤곽은 6월은 돼야 나올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다만 오는 15일(한국시간) 워싱턴에서 있을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간 정상회담이 북한의 제안에 대한 대응 방향 및 제2차 3자회담 개최 여부의 큰 방향을 논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당국자는 5일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대체적인 방향을 양 정상이 협의하는 것을 계기로 큰 방향이 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당국자는 "정상회담 이후 한.미.일 3국간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회의 등을 거쳐야 구체적으로 어떻게 대응할지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TCOG 개최시기는 빨라도 이달 말은 돼야 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미국은 한미정상회담 이후 오는 22일 워싱턴에서 부시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간 정상회담, 6월초 예정된 미중 정상회담 등을 거쳐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결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워싱턴을 방문, 부시 행정부 한반도 정책담당자들을 면담하고 지난 4일 귀국한 한나라당 박 진(朴 桭) 의원은 "부시 행정부는 3자회담의 후속조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이라며 "미국은 아시아 주요 우방들과의 일련의 정상회담을 통해 다자외교의 틀속에서 종합적인 협의를 할 것 같다"고 예상했다.

또 미국이 내부 강온파간 입장차이를 정리, 단일안을 만들 수 있을지, 제2차 북핵 다자회담을 개최할지 여부도 불투명한 상태이다. 다만 어렵사리 회담이 시작된 만큼 후속회담이 개최되기는 할 것이라는 예상이 일단은 우세하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