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준영 유엔주재 대사.

북핵 문제는 결국 대화를 통해 풀리겠지만 최종적으로 해결되기까지 2년은 걸릴 수 있다고 선준영(宣晙英) 유엔주재 대사가 16일 밝혔다.

선 대사는 한국언론사 뉴욕특파원과 한 간담회에서 "93년 시작된 북핵위기가 제네바 북미기본합의로 타결되기까지 1년 6개월이 걸렸다"면서 "이번에는 재래식무기를 제외하더라도 우라늄, 플루토늄, 미사일, 생화학무기 등 대량파괴무기만으로도 현안이 복잡하고 논의할 내용이 많기 때문에 2년은 걸려야 해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선 대사는 평화해결 전망의 근거로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이 사태가 평화적으로 해결되리라는 것을 `절대적으로 확신한다(absolutely convinced)'고 강한 어조로 강조했고 북한도 역시 거친 언사에도 불구하고 기본 입장은 대화 추구"라는 점을 들었다.

선 대사는 단기적으로 북핵문제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논의 가능성에 대해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로 이 문제가 사실상 이미 안보리에 넘어온 상태지만 어느 이사국도 공식적으로 문제 제기를 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보고가 있어야 공식 안보리 의제로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선 대사는 "IAEA가 오는 23일이나 24일쯤 이사회를 개최해 북한핵문제를 논의한다는 설이 있으나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론적으로 안보리에 북핵문제가 상정되면 논의 결과에 따라 단순히 토의된 내용을 언론에 설명하는 정도에서 의장성명, 경제ㆍ군사제재 결의안, 무력사용 등이 결정될 수 있으나 지금으로서는 강경조치가 나올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선 대사는 지적했다.

선 대사는 "우리가 안보리 의장국이 아니기 때문에 논의 방향 자체를 이끌 수는 없지만 강경한 대북제재 등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 방향으로 토의가 진행될 때 이를 바로 잡을 수 있도록 외교적 노력은 기울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 대사는 이런 점에서 현재 논의되는 안보리 상임이사국과 한국, 일본의 협의체, 이른바 `P5+2'가 중요한 채널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뉴욕=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