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2일 북한이 영변 5㎿(메가와트) 원자로에 대한 봉인을 해제하고 감시장비 기능을 정지시킨 것에 대해 "예상하던 사태가 터졌다"는 표정속에 향후 대응책 마련에 부심했다.

정부는 21일 IAEA(국제원자력기구) 측으로부터 북한의 핵동결 해제 조치 착수사실을 통보받은 뒤 한.미.일 3국간 외교채널을 긴급 가동하는 한편 IAEA측과도 향후 조치에 대한 협의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또 최성홍(崔成泓) 외교장관과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은 22일 낮 긴급 전화협의를 갖고 이번 사태에 대한 각종 대처방안을 협의하는 발빠른 움직임을 보였다.

정부는 일단 "북한이 즉각 원상복구 조치를 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면서 "북한의 핵동결은 반드시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 발표를 시작으로 구체적인 대북대응에 나섰다.

정부는 앞으로 영변 5메가와트 원자로가 실질적으로 재가동될 때까지 남은 1-2개월의 시간에 이번 사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국제사회와 공조노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정부의 국제공조 방안은 한.미.일 3국간 긴밀한 협의 및 대북대응 이외에 북한에 영향력이 있는 중국, 러시아를 통한 대북 설득에 집중돼 있다.

특히 중.러 양국을 통한 대북설득 노력에 정부는 물론 미국도 기대를 버리지 않고 있다.

실제 파월 장관은 22일 최 장관과의 전화통화에서 "중국, 러시아의 협조를 얻어 북한을 적극 설득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물론 한미 양국은 이같은 외교적 설득노력이 실패할 경우에 대비한 실질적인 조치 모색도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와 관련, 크리스마스 휴가가 끝나는 대로 미국에 고위급 인사를 파견하는 문제 등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해 대북 경수로공사의 중단, 유엔 안보리 회부, 유엔 대북결의안 채택 및 상황에 따른 대북제재 단행 등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다.

한편 정부는 이번 사태와 관련,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자 측에도 이 사실을 즉각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노 당선자쪽에도 적절한 경로를 통해 상황을 알리고 있다"면서 "이 문제에 대해 당선자측과 연락을 취할 채널이 있다"고 말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