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최근 여러 공장·기업소를 하나의 경영단위로 통합한 연합기업소의 한 형태인 '연합회사'를 내각이나 성(省) 등의 기관 관리형태인 '공업관리국'(또는 관리국) 체제로 개편해 눈길을 끈다.

북한의 연합기업소는 생산기술공정과 관리조직상의 특성에 따라 연합기업소·연합회사·총회사·관리국·총국 등으로 분류되며, 연합회사는 외형상 사적(私的) 경영조직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 북한 신문·방송 보도를 종합한데 따르면 전기기계연합회사·일반건재연합회사·공작기계연합회사·비단연합회사 등 10여 개 연합회사가 지난 7∼8월을 전후해 전기기계관리국·일반건재공업관리국·공작기계공업관리국·비단공업관리국 등으로 개편됐다.

매체를 통해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방직공업연합회사·신발공업연합회사·화학연합회사 등 나머지 연합회사들도 공업관리국 또는 관리국으로 간판을 바꿔 달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연합회사가 공업관리국 또는 관리국 체제로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연합회사가 거느리고 있던 산하 공장·기업소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례로 광업연합회사는 산하에 연풍·시중·12월5일·이원·판교·창도 광산 등을 두고 있었는데 광업관리국으로 개편된 이후에도 이들 광산은 그대로 거느리고 있으며, 다른 관리국도 거의 마찬가지이다.

연합회사의 관리국 체제로의 개편은 시기적으로 「7·1경제관리 개선조치」와 맞물려 있으면서도, 내용상으로는 사적 경영단위의 형태를 없애고 기관 관리체제로 귀속시킴으로써 오히려 개혁적 성격을 퇴색시키는 양면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의 한 관계자는 『북한이 최근 1∼2년 사이에 실리와 효율성에 초점을 맞춰 공장·기업소의 경영·관리체제를 개편했다가 다시 환원하는 등 몇 차례 시행착오를 겪은 바 있다』면서 『이번 조치도 일단 그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金光仁기자 kki@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