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장판 속 당무회의… 국민의당, 내달 4일 통합 전당대회]

안철수 "국민은 정치 변화 열망"
통합결정 전당대회 추진 강행하자 당원·당직자 편갈려 고성·몸싸움
박지원 등 반대파 독자 신당 모색… 한국당은 원희룡 끌어오려 '작업'
 

국민의당이 안철수 대표 주도로 12일 당무위원회를 열고 바른정당과 통합 여부를 결정할 전당대회를 다음 달 4일 열기로 했다. 바른정당과의 통합 절차에 최종 단계만 남겨 놓은 셈이다. 그러나 통합 반대파의 저항도 만만치 않았다. 반대파는 안 대표를 향해 "박정희·전두환 정치의 계승자"라고 비난 수위를 올렸다.

국민의당은 이날 당무위를 열고 재적 위원 75명 가운데 39명 찬성으로 전당대회 개최 안건을 통과시켰다. 또 전당대회 준비위원장에 김중로 의원, 부위원장에 이태규·김삼화 의원 등 안 대표와 가까운 통합파 의원들을 임명했다. 안 대표는 이날 회의 직후 "전당대회 때까지 당원, 당내 구성원들과 열심히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당무위 회의는 반대파 의원들의 항의 속에 시작됐다. 당무위는 당무 집행에 관한 최고 의결기구로 당 지도부, 상임위원장, 시·도당위원장 등으로 구성된다. 안 대표 측 인사가 다수다. 안 대표가 개회 선언을 하기 위해 연단에 오르자 유성엽·장정숙 의원 등 반대파 의원들이 "뭐 하는 짓이냐"며 소리쳤다. 장 의원이 안 대표 쪽으로 다가가자 통합파 인사들이 가로막았다.
 
이미지 크게보기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위한 전당대회 개최를 논의하기 위해 12일 오후 열린 국민의당 당무위원회에서 통합 반대파 장정숙 의원이 안철수 대표에게 거세게 항의하며 다가가자 찬성파 인사들이 제지하고 있다(왼쪽 사진). 이날 회의장 밖에선 입장하지 못한 통합 반대파 당원들과 이를 막는 찬성파 간에 몸싸움도 벌어졌다(오른쪽 사진). /이덕훈 기자

안 대표는 입을 굳게 다물고 10여 분을 기다린 후 개회사를 읽었다. 안 대표는 "지난 총선 국민께서 국민의당을 원내 3당으로 만들어 다당제의 길을 열어주셨다"며 "이는 국민의당 지지를 넘어 정치 변화에 대한 열망을 담아주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대한민국의 정치를 바꾸고 대한민국의 새 역사를 만든다는 사명을 가져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회의장 밖에서는 "안철수 사퇴하라"를 외치며 회의장에 들어가려는 반대파 의원·당원과 "당무위원이 아닌 사람은 들어갈 수 없다"고 저지하는 당직자 간에 몸싸움이 벌어지고 고성이 오갔다.

신경전은 당무회의가 열리기 전 시작됐다. 통합 반대파 의원은 이날 오전에도 모여 대책을 논의했다. 조배숙 의원은 안 대표 쪽 통합파 의원과 당직자들을 향해 "공당(公黨) 파괴 특무상사"라고 했다. 경기도 파주 도라산역을 방문해 "개성공단을 재가동하라"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국민의당이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을 계승하는 만큼 안보 보수인 바른정당과의 통합이 불가하다는 메시지를 지지층을 상대로 낸 것이다.

전당대회 일정이 확정되면서 반대파는 우선 전당대회 불참 운동을 통해 안 대표의 통합 계획을 저지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안 대표 측이 전당대회 투표권이 있는 대표 당원 500명을 추가 임명하고, 중앙위원회를 통해 전당대회 개최 요건을 완화시킬 것으로 예상돼 또 한 차례 충돌이 빚어질 가능성이 있다. 전당대회 전망에 따라 반대파의 독자 신당 창당 여부도 명확해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간 통합이 속도를 내자 자유한국당도 급해졌다. 한국당은 오는 19일 홍준표 대표 주재로 제주도당에서 신년 인사회를 가질 예정이다. 현 제주지사는 바른정당 소속인 원희룡 전 의원이다. 원 지사는 국민의당과 바른정 당 통합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고 한국당 복당 의사를 밝힌 것도 아니다. 홍 대표가 제주도에 가는 것은 그런 원 지사를 끌어당기려는 차원으로 보인다.

바른정당도 19일 제주도에서 의원 워크숍을 열기로 했다가 취소했다. 바른정당 관계자는 "의원 단합 차원에서 추진되던 행사인데 일정이 맞지 않았다"며 "원 지사와는 계속 소통하고 있다"고 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13/2018011300237.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