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접근’이 최근 눈에 띄는 흐름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이탈리아와 북한의 수교에 이어 호주 고위관리의 15년 만의 평양행이 오는 21일로 날짜가 잡혔다. 프랑스, EU(유럽연합), 타이완, 이스라엘, 필리핀 등이 북한과 ‘관계개선’ 차원의 뜻을 이미 밝혔다. 미 국무부 스탠리 로스 동아태담당 차관보는 “각국이 북한과 관계를 구축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6일 뮌헨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안보국방 포럼에서 한반도 주변 4대강국 중 중국과 일본이 포럼 회원국들에 적극적인 대북 접촉을 권고했다.

이날 중-일 양국의 발언은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신호를 북한 정권에 보내라”는 공통 메시지를 담고 있다. 가토 료조(가등양삼) 일 외무성 심의관은 “북한을 국제사회로 이끌어내야 동북아 안정을 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4월 평양서 국교정상화 첫번째 본회담을 북한에 제안한 상태다. 왕광야(왕광아)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도 “북한을 건설적인 입장에서 대한다면 북한도 미사일과 핵의혹을 포함한 문제들에서 더욱 건설적인 태도를 보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일의 나토포럼 발언은 최근 국제사회의 북한접근 분위기를 확인해준 것으로 평가된다.

최근 북한과 수교한 이탈리아는 유럽을 대표해서 원래 소외국에 대한 외교접근을 시도하는 ‘회색지대’성 외교정책을 시험하고 있는 것이며, 지난 95년 국제사회에서는 최초로 북한에 80만달러의 식량원조를 제공하기도 했다.

프랑스와 EU도 이미 97-98년부터 북한과 정기적으로 만나왔고, 이스라엘은 93년 미사일 위기때 비공식으로 접촉했다. 서방의 전략은 ‘북한을 정상적인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끌어 들인다’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일본에서 발행되는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지난달 24일 ‘연방제 통일실현을 위한 국제사회 지지확보’를 거론했다.

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 뒤 체제동요를 우려해 경제정책의 다각화를 추구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와 관련, 관심을 끄는 것이 ‘무역제일주의’란 조어다. 이는 94년 무렵에 사용되던 ‘수출중시 원칙’의 2000년 판이며, 개념은 ‘변화된 환경에 맞게 대외시장을 넓히는 것’이다.

/이혁재기자 elvis@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