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과 적십자회담에서 합의한 8·15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사업이 16일 남·북 적십자사가 후보자 명단 200명을 교환함으로써 본궤도에 들어섰다.

우리 측은 16일 북측에서 보내온 명단을 전격 공개했다. 남한의 가족들을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란 설명이다. 홍양호(홍양호) 통일부 인도지원국장은 “연령과 출신지, 헤어질 때 주소, 직장 등으로만 10일 동안 1000명이 넘는 사람들을 찾는다는 게 쉬운 작업이 아니다”면서 “15일 저녁 언론 공개 방침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 1983년 KBS의 이산가족 찾기사업의 효과를 기대해 보겠다는 것.

북측이 보내온 명단에 따르면, 북한은 8월 15일부터 18일까지 서울을 방문할 이산가족 100명 전원을 남한 출신들로 구성할 계획임을 알 수 있다. 후보자 200명 중 199명이 남한 출신이었다. 따라서 월남한 이산가족들은 전혀 해당이 되지 않는다. 남·북한은 1985년 첫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교환(당시 50명씩) 때에도 서로 상대 지역 출신자들을 보냈다.

200명 중 거의 대부분이 부모·형제를 찾고 있으나 부인을 찾는 사람도 최필순(77) 김희영(72) 신용대(81) 조용관(78) 이승철(73)씨 등 5명 포함돼 있어 눈길을 끌었다. 또 ‘의용군’ 출신도 상당수 포함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남한의 평양 방문단 후보자의 경우 70세 미만이 38명인 데 반해 북한의 서울 방문단 후보자들은 70대 미만(60대)이 140명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6·25전쟁을 전후해 북으로 올라갈 당시 10대였던 사람들이 많이 포함됐다는 것이다. 이들은 대개가 ‘자발적인 월북자들’로, 이념적으로 북한 체제를 지지했던 사람들이라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날 명단 공개와 관련, 개인의 신상에 관한 정보를 공개했다는 비판이 뒤따를 가능성도 없지 않다.

한적 관계자는 “월북자 가족들의 경우는 가족 상황 공개를 원치 않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면서 “이들이 명단 공개를 문제삼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남·북한은 앞으로 10일 동안 이날 서로 교환한 200명이 만나고자 하는 가족들의 생사와 소재지를 확인해 26일까지 상대 측에 통보하게 된다. 통보 당시 상봉 희망자가 확인된 사람이 100명이 넘는 경우엔 전체 순위를 정해 100명은 방문단에 포함시키고, 나머지는 가족들의 생사·소재만 확인해 주기로 했다.

만약 100명이 안될 경우, 추가로 후보 명단을 보내 생사·소재를 확인하는 작업을 벌인다. 이럴 경우, 최종 100명 명단은 방문단 전체 명단을 통보하는 8월 8일이 돼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김인구기자 ginko@chosun.com

북한 이산가족 후보자(200명) 현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