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는 14일에도 전날에 이어 남북간 회담의 형식과 명칭 문제로 혼선을 빚었다.

양영식(량영식) 통일부 차관은 이날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 정례 브리핑에서 김대중(김대중) 대통령과 북한 김영남(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비롯한 남북한 관계자의 이날 오전 접촉을 ‘확대 정상회담’으로 표현했다.

그러나 2시간쯤 뒤 서울 상황실은 “평양 공동취재단이 용어교정을 요청해 왔다”며 “김영남 위원장 등과의 ‘확대정상회담’을 ‘확대회담’으로 용어를 교정한다”고 발표했다. “확대회담은 공식 면담으로 서로 간에 다양한 의견이 교환된 자리”라면서 “‘정상회담’ 표현은 김정일(김정일) 위원장이 참석한 회담에 한한다”는 설명이었다. 또 1시간쯤 뒤 서울 상황실은 다시 보도자료를 내고 ‘확대회담’ 대신 ‘공식면담’으로 용어를 재차 교정했다. 확대정상회담이 무슨 연유에서인지 공식면담으로 탈바꿈한 것이다.

통상 정상끼리의 만남에서 통역 등 극소수의 배석자만 남긴 채 두 정상이 별도 회담을 갖는 형식을 (단독)정상회담으로, 방문하는 측의 공식수행원과 초청국의 각료 등이 배석하는 것을 확대정상회담으로 각각 부른다. 우리 정부는 김영남 위원장이 명목상 북한의 국가원수(Head of state)라는 점에서 이날 오전 만남을 확대정상회담으로 불렀다가 격(격)의 문제를 뒤늦게 의식, 용어를 정정하는 해프닝을 벌인 것으로 보인다. /홍석준기자 udo@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