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경의선복구' 내다본 계산

러시아가 북한과 TSR(시베리아횡단철도)·TKR(남북한 종단철도) 연결에 합의했지만, 경제적 효과를 거두려면 남북한 철도가 연결돼야 한다. 경의선이나 경원선이 복구돼 부산을 기점으로 한 수송이 바탕이 돼야 비로소 경제성이 생기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남북한이 합의한 경의선 복구부터가 순탄치 않은 상황이다. 현재 남측 구간의 경우 철도복원은 72%, 도로공사는 75% 정도 진척이 된 상태이지만 북한은 공사조차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러시아가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장기적인 계산 때문이다. 장차 남북관계가 개선돼 TSR와 TKR가 연결될 경우 한국은 물론, 일본의 물량 수송에 따른 경제적 이득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다. 동북아~로테르담 운송 경로를 비교해볼 때, TSR는 1만3000㎞로 북미대륙(2만㎞)이나 케이프타운을 경유하는 해상운송 항로(2만7000㎞)보다 운송거리를 단축시키고, 운송기간도 26일에서 20일로 일주일 정도 단축시킬 수 있다.

운임 또한 약2000달러에서 1700달러로 저렴하다. 특히 TSR와 TKR를 연결할 경우, 러시아는 연간 4억달러, 북한은 1억달러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이같은 장기적인 실리보다는 이를 필요로 하는 러시아의 군사적 경제적 대가를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철도 연결까지는 문제들이 산적해있다.

러시아 철도는 광궤인 반면, 북한과 한국은 표준궤이다. 러시아 국경을 통과하려면 바퀴를 교환하거나 환적(換積)을 해야 한다. 이외 시스템 구축, 트랙과 교량의 강도, 브레이킹 시스템, 궤도 터널 높이의 표준화 등 기술적 측면을 해결해야 한다. 이를 위해 러시아는 북한에 대해 철도 현대화를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한국외대 국제대학원 권원순 교수는 “러시아 지원에는 기본적으로 철도·선로·침목 교체, 노반·교량 보수와 함께 전철화에 필요한 전기 인입선 작업, 첨단 신호체계 등 제어설비 투자가 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정병선기자 bschung@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