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조만간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무장관 회의때 제2차 남북 외무장관 회담을 개최하자고 북측에 제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최근 남북관계의 경색국면 속에서 외무장관 회담개최 여부가 주목된다.

이와 관련, 정부 당국자는 “외교경로를 통해 백남순(白南淳) 북한 외무상에게제2차 남북 외무장관 회담 개최의사를 타진할 예정”이라며 “북.미관계와 남북관계의추이를 봐야 하겠지만 북측이 긍정적인 답변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현재 답보상태에 있는 남북관계 분위기 속에서 북측으로부터 긍정적 답변을 기대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백 외무상이 북측 수석대표로 오는 25일 ARF 외무장관 회의에 참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판단 때문이다.

지난해 7월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7차 ARF 외무장관 회의때 23번째 회원국으로정식 가입한 북한의 경우 이번 ARF에 외무장관을 파견하지 않는다는 것은 다른 회원국에게 외교적 결례가 될뿐 아니라 정치적 부담이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ARF를 계기로 리처드 아미티지 미 국무부 부장관이 백 외무상과 콜린 파월 국무장관 간의 회담 가능성을 내비쳤고, 러시아측도 백 외무상과 이고리 이바노프 외무장관이 만날 것을 시사하는 등 백 외무상의 ARF 참가는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제2차 남북 외무장관 회담은 남측이 북측의 국제무대 편입노력을 지원하고, 북측으로서는 북.미관계 개선 등에 대한 상징적 의지를 과시하는 ‘남북상생’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도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로 한승수(韓昇洙) 외교통상부 장관과 백외무상 간의 회담이 열릴 것으로 비교적 낙관하는 분위기다.

ARF 외무장관 회의보다 하루 앞선 24일께 진행될 것으로 관측되는 2차 외무장관회담에서는 무엇보다 한 장관이 올해부터 유엔총회 의장직을 수임하는 만큼 특히 유엔에서의 남북 협력방안들이 심도있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아직 가입하지 않은 유엔 산하기구들에의 정식 가입과 함께 이들 기구의 대북지원 확대, 유엔주관 각종 교육프로그램에의 북한 참여 문제들이 바로 그것이다.

이와 함께 ▲각종 국제회의에서의 한반도 조항 채택시 협조 ▲재외공관 간의 상시 협의채널 확대 ▲유엔을 비롯한 다자 기구에서의 외무장관 회담 정례화 ▲북한의외교지평 확대 및 이 과정에서의 상호협력 등이 의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지난해 제1차 외무장관 회담 이후 유엔 총회와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등기회 있을 때마다 남북이 긴밀히 협의해왔던 점을 감안할때 특히 한반도 조항 삽입과 같은 현실적인 방안은 이번 회담에서도 심도있게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이같은 점을 북한이 얼마나 평가, 남측의 제2차 외무장관 회담제의에 긍정적으로 반응할지 자못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