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경 탈북자 사태로 인해 한동안 땅속에 파묻혔던 북한 인권문제가 다시금 국제사후의 조요 이슈로 부각되었다. 우리는 이점이 이번 베이징 UNHCR에서 있은 길수가족 농성사태의 또다른 의미이자 상징이며 효과라고 생각한다. 북한 인권문제는 한반도 인간상황의 가장 핵심적이고 본질적인 사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문제는 우리 한국은 물론 미국ㆍ중국ㆍ러시아등 주변국가들의 정치우선주의와 정치적 배려로 인해 완전히 매몰되거나 사장되다싶이 했다. 북한은 그들의 체제위기 떄문에 남한 정부는 그들의 정치적 고려 때문에, 중국ㆍ러시아ㆍ미국은 강대국 이기주의 때문에 북한 민중이 아무리 인간이하의 처참한 지경에서 신음해도 모른체하거나 묵살해왔다.

남한의 일부 지식인들 역시 북한의 인권문제를 거론하면 그것을 「반북=반통일=수구」로 낙인찍으며 북한 인권문제를 백안시 해왔다. 이런 사각지대에서 탈북자들은 북한에 강제송환당해 죽음을 맞거나, 그것을 피하기 위해 중국당국의 난민신분 인정을 받으려 했다.

그러나 그것마저도 국제적 이기주의의 완강한 벽에 부딛힌채 오도가도 못하는 처지에 몰려있는 것이 대부분의 경우다. 인류사회가 진정 문명사회라면 이런 상황은 용납될 수도 없고 용납돼서도 안된다.

이점에서 일본에 본부를 둔 RENK라는 인권단체와 한국의 또다른 인권단체의 지원을 받은 이번 북경사태는 아시아 인권투쟁사에 기리 기록될 만한 큰 사건이었다. 이제 북한 인권문제와 탈북자 구출문제는 더이상 매장시켜버릴 수 없는 세계적인 쟁점이자 범인류적인 이슈로 제기돼야 한다.

그런 뜻에서 우리는 그들의 거사를 난처하고 곤란하다는듯이 바라볼지도 모를 일부 당국자들의 「우려」에 경멸을 보낸다. 거창한 정치이념 이전에 우선 탈북자들의 절박한 생존권부터 존중할 줄 아는 것이 「통일」 「평화」「민주」 운운의 가장 초보적인 요건임을 깨쳐야 할 것이다. 그것을 외면하는 그 어떤 거창한 호언장담을 모두 위선이요 허위의식일 뿐이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