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과 러시아가 27일 `방위산업 및 군사장비 분야 협력에 관한 협정'과 `2001년 군사협력에 관한 협정'을 체결한데 대해 남북관계, 한.러관계 등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28일 '북.러간 2개의 군사협정은 지난 97년 체결된 한.러간 군사기술분야, 방산 및 군수협력에 관한 협정, 한.러 국방부간 군사분야 양해각서와 유사한 형태의 협정일 것'이라며 '한.러간 모델과 특별히 다른 것은 없을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97년 한.러간 협정은 군사기술 분야에서의 교류와 무기에 관한 기술교환, 상대방이 생산하는 방산물자의 구매 등 10여가지의 협력내용을 담고 있다.

이 당국자는 '이번 군사협정들은 북한과 러시아가 지난해 2월에 체결한 신조약 이후 관계확대에 따른 일종의 후속조치적 성격을 띠고 있다'며 '이것이 러시아측 설명대로 한.러관계에 손상이 가지 않는 범위내의 것일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김일철(金鎰喆) 북한 인민무력부장(차수)과 함께 협정에 서명한 일리야 클레바노프 부총리는 '이번 협정이 과거 북한측에 제공됐던 무기들의 현대화에 관한 것'이라고 소개한뒤 '이번 협정은 결코 한국과의 관계를 훼손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정부는 이번 협정을 통해 러시아가 특히 공격용 무기의 북한 이전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정리했다는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이 협정이 노후된 북한 무기체계의 정비와 현대화작업에 일정부분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나아가 북한이 러시아산 무기를 구입할 수 있는 경제여건이 충분치 않은 만큼 `우호가격'에 의한 구매정도가 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도 '이번 협정을 통해 러시아가 전략무기가 아닌, 군사용 트럭 등 방산물자를 북한에 인도하려는 의도일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 정부를 자극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이번 북.러간 2개의 협정체결을 통해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에 필요한 여건을 마련했을 가능성이 있어 향후 추이에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