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텍사스 A&M대학 부시 행정대학원이 주최한 「오늘의 북한― 포용인가 대치인가’를 주제로 한 학술대회는 이틀째인 18일 대북 포용의 구체적인 방안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인 뒤 폐막했다.


◇셀리그 해리슨(Selig Harrison) 세기재단 연구원

셀리그 해리슨(Selig Harrison) 세기재단 연구원은 한국의 북한지역 내 공단 조성과 기업 투자를 통한 남북간 경제협력, 미군을 포함한 남북 군사력의 상호 후방배치 등을 주장, 대북 포용방법론을 둘러싼 논란을 촉발시켰다.

이에 대해 마커스 놀란드(Marcus Noland) 국제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김대중 대통령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고 미국에 보수적인 행정부가 들어선 시점에서 한국 정부 주도의 남북 경제협력은 큰 성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리처드 크리스텐슨(Richard Christenson) 미 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리처드 크리스텐슨(Richard Christenson) 미 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한·미 연합군의 위력을 두려워하는 북한을 이해하고 안보가 보장된다는 확신을 심어주는 게 중요하다”면서도 미 공군의 후방배치에 대해서는 강력히 반대했다.




◇도널드 그레그(Donald Greg) 전 주한미대사

제임스 릴리(James Lilley)와 도널드 그레그(Donald Greg) 전 주한미대사의 훈수도 주목을 끌었다. 릴리 전 대사는 “중국은 역사적으로 한반도를 자신의 세력권으로 보는 만큼 북한을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이 군사적 침략을 받든 경제적으로 몰락하든 어느 쪽도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대북정책 검토는 반드시 중국의 의중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라며 “중국도 북한의 핵무기 보유는 지역 안보 위협 요인으로 보는 등 미국과 이해가 일치하는 부분이 있으므로 양국의 협력을 통해 북한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레그 전 대사는 “예컨대 미국은 이산가족 상봉을 별로 평가하지 않는 반면, 한국은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한 미국의 우려를 중시하지 않는 등 서로 이해관계가 다르다”면서 “북한이 이러한 틈새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양국은 공동의 잣대를 마련, 상호주의의 입장에서 북한으로부터 무엇을 얻어낼 것인지 조율하는 작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칼리지스테이션(텍사스)=주용중특파원 midway@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