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17일 미주기구(OAS) 본부에서 연설한 뒤 콘돌리자 라이스 국가안보 보좌관과 함께 백악관으로 돌아가면서 손을 흔들고 있다.

부시 행정대학원이 17일 주최한 ‘오늘의 북한―포용인가 대치인가’ 학술회의의 첫째날 결론은 포용으로 모아졌지만 포용의 방법론을 둘러싸고는 미묘한 시각차를 보였다.

▶관련기사: 페리 前 대북정책조정관, 매클로플린 CIA 부국장 학술회의 발언요지

이번 학술회의는 부시 행정부가 대북정책 재검토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이 사실상 학술회의를 주도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부시 전 대통령은 대북정책 재검토의 당위성과 한·미동맹 관계를 강조하는 선에서 그쳤지만, 존 매클로플린(John Mclaughlin) CIA 부국장 등 전·현직 CIA 간부들을 대거 동원, 북한에 대한 경계론을 설파하는데 주력했다.

이날 제리 험블(Jerry Humble) 주한 유엔군 부사령관을 필두로 가이 애리고니(Guy Arrigoni) 미 국방부 한반도전략문제 선임 정보분석관, 헬렌 루이스 헌터(Helen Louise Hunter) 전 CIA 동북아 지역 정치 분석가, 윌리엄 드레넌(William Drennan) 미 평화연구소 집행국장 등은 북한의 선(선)변화론에 무게 중심을 두었다.

이에 반해 윌리엄 페리(William Perry) 전 대북정책 조정관을 비롯해 돈 오버도퍼(Don Oberdorfer) 존스홉킨스대 국제대학원 교수, 스콧 스나이더(Scott Snyder) 아시아재단 한국담당 연구원 등은 미국이 적극적으로 북한과 협상에 나설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애리고니 분석관은 남북 군사력과 주한미군 병력을 비교분석한 뒤 “지난 18개월 동안의 남북간 정치, 외교적 사건에도 불구, 한반도 군사상황의 가장 큰 특징은 북한이 여전히 군사적 위협 및 능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오버도퍼 교수는 “부시 행정부의 지금까지 행동이 문제이지만 아마 행동을 취하지 않고 있는 게 더 큰 문제일지도 모른다”며 “시간이 중요한 변수인데 한반도의 시계는 멈추지 않고 있다”면서 조속한 대북 포용정책을 촉구했다.

한국 대표로 참석한 양성철 주미대사는 만찬연설에서 “부시 행정부가 가장 이른 시일 안에 포용 정책을 지속하는 방향으로 결론을 내리기를 희망한다”며 “대북 정책은 한·미·일 3국의 긴밀한 공조와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부시 전 대통령과 30분간 면담한 그는 “미·중 정찰기 사태와 유사한 위기가 한반도에서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면서 “미·북 대화를 하루 빨리 현재의 하위급에서 고위급으로 격상해야 하며 북·미 미사일 회담도 조속히 재개돼야 한다”고 말했다.
/칼리지스테이션(텍사스)=주용중특파원 midway@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