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12일 클린턴(Clinton) 전행정부가 유지했던 각종 명칭의 특사 55명 중 23명(42%)의 직제를 폐지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한국 입장에서 관심을 끌어온 대북정책조정관은 이날 폐지 대상 명단에 포함되지는 않았으나, 미 국무부는 대북 정책에 대한 전면 재검토 작업이 끝나는대로 대북정책조정관 폐지 방침을 확정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같은 미 국무부의 방침은 대북 협상을 서두르지 않고, 추후 대북협상을 하더라도 격을 낮추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98년 신설된 대북정책조정관에는 윌리엄 페리(William Perry) 전 국방장관에 이어 웬디 셔먼(Wendy Sherman)이 맡아왔다.

미 국무부 관계자는 그러나 “부시 행정부가 대북정책 집행과 관련, 찰스 카트먼(Charles Kartman)이 맡고 있는 한반도 평화회담특사는 폐지 대상에서 제외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리처드 바우처(Richard Boucher)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외교 조직을 재정비하라는 부시(Bush) 대통령의 특명에 따라 콜린 파월(Colin Powell) 국무장관이 전체 특사 55명 가운데 23명의 직제를 폐지했다”고 밝혔다.

바우처 대변인은 “나머지 특사 가운데 법에 규정된 7개 직제와 한반도 평화 회담특사를 포함한 19개 직제만 계속 남겨 두고 6개 직제는 앞으로 6개월 안에 폐지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무부의 이번 특사 제도 축소는 외교 업무의 지나친 특화를 막고 지역별 담당 부서의 권한과 책임을 분명히 하기 위한 조치로, 중동, 미주, 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 사이프러스 담당 특사와 교통, 아동문제 특사등이 폐지됐다.
/워싱턴=朱庸中특파원 midway@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