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2일,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남북간 실무접촉 ‘도상(도상)연습’에 착수했다.

‘남북정상회담 준비기획단’ 단장으로 유력시되는 황원탁(황원탁) 외교안보수석 주재 아래 관련 부처 실국장들이 참가하는 회의를 매일 오후 갖고,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실무접촉 대표단 구성 문제 등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정부는 일단, 실무접촉의 장소는 ‘한반도내(내)’여야 한다는 전제 아래 판문점을 ‘0순위’로 꼽고 있다.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실무접촉이라는 상징성과 분과위별 협의를 수차례 벌여야 하는 점을 감안할 때 남북간 접촉이 용이한 판문점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판단이다. 94년 남북간 정상회담 합의 당시 이홍구(이홍구) 부총리와 김용순(김용순) 북한 최고인민회의통일정책위 부위원장간 예비접촉은 물론, 윤여준(윤여준)·백남준(백남준)간의 대표접촉, 경호·통신문제 협의를 위한 실무접촉이 모두 판문점에서 열렸다.

정부는 그러나 만약 북한이 끝내 한반도가 아닌 제3의 장소를 주장하면, 그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한다는 입장이다. 실무접촉 대표단의 격(격)은 남북정상회담 합의가 장관급(박지원·송호경)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차관급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 회담에선 정상회담 절차 문제뿐만 아니라 인도적 차원의 대북지원 문제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또 ‘경호’ ‘통신’ ‘의전’ 등의 분과위를 두어 정상회담 방북단 규모, 통신수단, 경호, 선발대(선발대) 파견여부, 남북한 출입절차, 북한 입국수단 및 통행로 등 세부사항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낼 방침이다.

/김민배기자 baibai@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