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빈(李廷彬) 외교장관은 22일 '미국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국방대학원에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우리의 외교'를 주제로 강연한 자리에서 올해 대북정책 추진의 주요 과제로 이같은 북한 대량살상무기 해결방안을 추진할 뜻을 밝혔다.

이 장관은 또 '정부는 올해 북한과 여러 분야에 걸친 교류와 협력을 통해 상호간의 신뢰를 증진시키면서, 군사적인 긴장완화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들이 취해질 수 있도록 북한과의 대화를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장관은 '우리는 북한과의 교류협력 활성화를 통해 남북간 화해협력을 추진하고, 미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등 문제해결에 역점을 두어왔다'면서 '한미 양국은 앞으로도 서로 긴밀히 협의하면서 역할분담을 계속할 것'이라고 대북정책 추진과정에서의 한미간 역할분담 방침을 밝혔다.

그는 '파월 미 국무장관은 북한이 대량살상무기, 특히 미사일 문제에 대해 긍정적인 조치를 취하면 미국도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면서 '미국 신행정부는 북한이 먼저 긍정적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큰 틀에서는 미국 신행정부도 대북포용정책(engagement policy) 기조를 계속 유지해 나갈 의지를 밝히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장관은 김정일(金正日) 위원장의 서울답방 시기와 관련, '여러가지 정황으로 보아 김위원장의 답방은 금년 상반기내에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북한은 정치.군사적으로는 안정되어 보이나 외부로부터의 도움 없이는 심각한 경제난을 극복할 수 없는 형편에 처해 있다'면서 '북한에게 개혁·개방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 장관은 '북한이 중국의 개혁·개방경험을 교훈 삼아 과감한 변화와 개방의 길로 나오도록 한·중 양국이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의 개방적 자세가 단순히 국제사회의 지원을 얻기 위한 단기적 전술인지 근본적인 변화와 방향전환의 징조인지에 대한 명확한 답을 내리기는 아직 시기상조'라면서 '그러나 분명한 것은 북한이 변화할 수 있는 모멘텀이 조성되고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북미관계에 대해 그는 '조명록 특사의 미국방문과 올브라이트 전 미 국무장관의 지난해 북한방문 등을 계기로 북한의 미사일 문제, 미·북간 상호 적대의도 포기, 관계정상화 등의 문제가 심도있게 논의됐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또 '북일 수교교섭이 가까운 시일내에 급진전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한 뒤, '한반도 주변 4국이 영향력 확대를 위해 경쟁할 가능성도 있어 앞으로 한반도 상황은 다소 유동적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이 밖에 이 장관은 북한과 유럽연합(EU)의 관계 개선과 관련, '올해 중으로 5-6개 나라가 추가적으로 북한과 수교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