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운동권의 반정부 투쟁 명분을 약화시키고, 평화통일의 가능성을 제고시킬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전현준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일 오후 2시 동국대 북한학연구소가 서울 필동 소재 이 대학 세미나실에서 개최한 제3차 북한포럼에서 「제2차 남북정상회담과 남북관계」라는 발제문을 통해 '김 위원장의 답방은 남한의 체제를 인정하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김 위원장의 답방은 ▲남북정상회담 정례화, 남북연합단계의 가시화로 평화통일 가능성 제고 ▲주변 강대국의 한반도 영향력 약화 및 한반도 문제의 자주적 해결 ▲남한의 대북관과 북한의 대남관 변화로 '상생의 효과' 심화 등 긍정적 효과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반면 김 위원장의 답방에 따른 부정적 효과로 ▲친북세력의 이른바 `김정일 통일대통령' 만들기운동이 확산되고 ▲남북정상회담이 성과 없이 끝날 경우 향후 정상회담의 무용론이 등장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장관급회담, 이산가족 상봉 등 각종 남북간 대화와 접촉이 단절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유호열 고려대 교수는 「제2차 남북정상회담과 북미관계」라는 주제발표문을 통해 '1차 남북정상회담은 남북한 지도자의 주도로 이뤄진 측면이 강하지만 2차 남북정상회담은 북한의 본질적 변화를 확인하려는 미국의 입장과 전략이 상당 부분 반영되는 회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 교수는 또 '2차 남북정상회담이 한미 정상회담 이후 순조롭게 개최되더라도 북미관계가 개선되기까지는 상당기간 조정국면을 거쳐야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2차 남북정상회담 추진방향과 관련 '미, 일, 중, 러 등 주변국의 이해관계가 걸린 중요한 사항'이라면서 '정부는 주변 강대국과의 이해관계를 조화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대북정책을 융통성 있게 조절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