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이 열리면 이를 계기로 남북간 경제협력이 크게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투자보장과 같은 지금까지 장애가 됐던 문제들이 해결되면 남북경협 사업이 건설과 제조업, 교통, 농업 등 전 산업분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남한의 자본 및 기술과 북한의 값싼 노동력을 결합한 합작생산, 해외 공동진출, 금융기관간 협력 등 다양한 협력방안들이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KOTRA 홍지선(홍지선) 북한실장은 “남북 경협 가능분야로 북한이 경제분야 3대 제일주의로 내세우고 있는 농업·경공업·무역분야를 꼽을 수 있다”고 말했다.

농업분야는 남한측이 비료를 비롯한 영농자재를 북한에 제공, 북한의 농업생산을 증가시킨 후 북한으로부터 농산물을 수입하는 식으로 하면 식량난 해결과 남북교역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경공업분야는 현재 진행중인 남북 임가공무역을 대대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남측이 북측에 부족한 생산설비를 제공하고, 북한이 생산한 상품을 해외로 수출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업종별로는 건설분야가 특수를 맞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남북경협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북한의 운송 및 인프라 체계 정비가 시급한 데다 공단이나 주택건설 수요가 폭주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제조업에서는 북한이 필요로 하는 섬유·신발·의복·봉제·식품가공 분야 등과 컬러TV, 냉장고 등 가전기기 조립 분야의 경협이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분야도 한반도 전체의 균형적인 에너지수급 차원에서 남북 모두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협력이 가능한 분야로 지적된다. 한국전력은 남한 여유전력의 대북한 송전방법과 수풍댐 등 출력이 크게 떨어진 북한 내 수력발전소의 출력향상 작업, 화력발전소 건설사업 등을 구상하고 있다.

그러나 남북경협이 본격화되려면 제도 및 열악한 북한 내 인프라 보완이 전제돼야 한다는 지적들이다.

/이동한기자 dhlee@chosun.com

/차병학기자 swany@chosun.com

북한 경제성장률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