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어느 장애인 아저씨의 휠체어를 밀어드리면서 느낀 점이 있다. 무엇보다 인도의 높은 턱 때문에 휠체어로 다니기에 매우 불편했다. 아저씨께서는 아예 인도를 포기하고 차도로 다니는 경우도 많다고 했다. 아저씨와 같이 간 동사무소도 마찬가지였다. 계단 옆에 경사로가 있긴 했지만 경사가 급해 손잡이를 잡아야 했다.

더욱 화가 나는 것은 주변 사람들의 시선이었다. 휠체어를 밀면서 장애인 아저씨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따가운 시선을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장애인은 누군가의 시선을 끌 사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우리 주변에는 아직도 장애인을 배려한 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 모두들 ‘장애인 먼저’라고 외치지만 내가 겪은 바로는 전혀 아니었다. 장애인을 다른 시선으로 보지 않는 작은 행동부터 실천하고 주변에 장애인을 배려한 시설을 갖추는 것으로 장애인과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황은경 17·학생·경기도 남양주시

◈요즘 언론을 통해 보도되는 젊은 벤처사업가들과 일부 주식 투자자들의 돈벼락 이야기를 들으면, 구조조정과 업무 과중을 견디고 달려온 많은 샐러리맨들은 상대적인 박탈감에 노동의욕까지 꺾인다.

어떤 동료는 가급적 집에 늦게 들어가려고 노력한다고 한다. 각종 모임에 다녀온 아내로부터 “다른 남편들은 주식을 해서 떼돈을 벌었다” “누구는 벤처사업을 시작해 수억 원을 벌었다” 따위의 이야기를 듣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벤처 스트레스’에 시달리면서 상대적 빈곤감을 느끼고 있는 서민들과 성실한 직장인을 위한 정부와 사회 전체의 적극적인 배려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언론부터 이런 기사들로 사회적 위화감을 조성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성공스토리는 성공스토리대로 쓰되, 그들에 대한 사회의 과잉평가나 구조적인 문제점도 객관적으로 보도해 주었으면 한다.

건강한 사회는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자신들이 종사하는 분야에서 최선을 다하며 행복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허점상 40·회사원·부산 연제구

◈휴전선에서 직선거리 약 12km지점인 경기도 연천군 구미리 지하 40m지점에서 화약으로 암반을 발파한 인공동굴이 발견됐다는 SBS 방송의 잇따른 보도에 충격과 불안을 금할 수 없다.

특히 SBS는 보도의 정확성을 위해 인공적으로 깎은 듯한 벽면과 천장, 칼로 바위를 잘라낸 듯한 흔적, 화약을 넣기 위해 뚫은 흔적 등을 이미 발견된 북한의 제2땅굴과 비교해 보여줬다. 그러나 국방부는 ‘그 지역은 기술적으로 땅굴 파기가 불가능한 지역’이라면서 SBS의 주장을 일축하는 발표만 했다. 이에 SBS는 국방부의 발표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곁들여 북한의 장거리 땅굴이 틀림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부의 이와 같은 대응이 혹시 햇볕정책을 고려해서 북한의 비위를 거슬리지 않으려거나 선거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려는 의도에서라면 천만 부당한 일이다. 북한은 우리가 상상치도 못했던 땅굴 파는 기술을 이미 여러 차례 실증으로 보여주었다. 국민들은 무엇보다 국가안보를 염려한다. 논란이 된다면 며칠 동안의 조사로 덮어 버릴 것이 아니라, 몇달에 걸쳐서라도 정밀 조사를 해야하는 것 아닌가. 정부와 언론은 이런 사태에 보다 성의를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를 촉구한다.

/강승희 69·6·25참전장교·서울 노원구

◈29일 김대중 대통령은 중국에서 활동하거나 중국을 방문하는 한국인에게 두 부류가 있다고 했다. 돈을 물 쓰듯 쓰는 사람과, 교만한 사람 그래서 표적이 되고 있다는 말이다. 물론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러한 한국인은 소수에 불과하며 설사 소수의 한국인이 그렇다고 해도 일국의 대통령이라면 자국민 편에 서야 하는 것 아닌가. 왜냐하면 한국인 납치 등 그 테러 표적은 그 곳에서 묵묵히 열심히 최선을 다하고 있는 불특정 다수의 한국인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부가 영사관이나 대사관이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아무런 문책이나 보호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것도 한 원인이라 하겠다. 이것이야말로 실패한 외교정책 아닌가. 정부의 말대로라면 한국인 스스로 조심해라, 하늘의 뜻에 맡기라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5년 동안 주재원으로 나가 있는 남편을 둔 나와 같은 가족입장에서는 너무 긴박한 상황이고 외로운 투쟁이다.

대한민국의 여권은 신분이나 국적을 보호 받을 수 없는 한낱 카드에 불과하다는 말인가. 만약 미국인이나 일본인이 그런 일을 당했다면 해당국 정부가 국가 차원에서 어떻게 대응했을까 생각하니 기분이 씁쓸하다.

/이상혜 36·주부·경기 시흥시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