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0~60년대 북한 최고 시인 가운데 한명으로 꼽히던 김순석은 말년을 불우하게 보내다 1974년 12월 24일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의 아들 김성민씨는 탈북자동지회 회보 '탈북자들' 2월호에 기고한 글에서 "아버지(김순석)는 71년 12월 이후 수정주의자 등으로 몰려 작품활동을 하지 못한채 1974년 12월 24일 쉰 다섯의 나이로 하늘나라에 승천하셨다"고 전했다.

초대 작가동맹 시 분과위원장, 김일성종합대학의 첫 창작지도원 등을 지낸 김순석 시인의 말년 행적과 사망일자가 구체적으로 확인된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씨는 아버지의 말년 행적에 대해 "작가동맹 정기회의도 진단서로 대치하는가 하면 집앞 대동강에서는 밤 낚시질을, 낮에는 시골의 호숫가로 낚시질을 다녔을 뿐 시 한편 지어내지 못했다"고 소개했다.

이에대해 한 탈북자는 "김순석이 71년 이후 작품활동을 하지 못했던 것은 김일성주석- 김정일 위원장 찬양물 창작에 제대로 적응을 하지 못해 문단에서도 주도권을 잃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김 씨는 "김정일이 작가들에게 보내는 선물을 받지 못한 71년 12월30일 이후 아버지의 권위는 하루 아침에 무너져 시 한편 지어내지 못했으며 돌아가신 몇년 후 박세영 시인으로부터 아버지가 자강도로 추방됐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회고했다.

김 시인은 '황금의 땅'을 비롯한 네권의 시집과 '빨찌산의 노래' 등 3000여 편의 시를 남겼다고 김 씨는 소개했다.

한편 김 시인의 대표작인 '빨찌산의 노래'와 '어랑천' 등은 북한에서 "무장을 하고 투쟁에 나선 남한 혁명가들의 투지와 인민정권 건설에 대한 혁명적 지향을 형상화 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연합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