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그리고 미·중 정상회담은 어떤 경우에도 북한 핵개발은 용납할 수 없다는 단호한 의지를 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평화적 해결원칙을 확인함으로써 국제 공조체제의 큰 틀과 방향을 마련했다. 특히 중국이 한반도 비핵화를 거듭 강조함으로써 여기에 어떤 형태로든 동참의사를 보인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한·미·일 3국이 북한의 불가침조약 체결 제의를 일축하고 핵개발 계획의 신속한 폐기와 국제적 의무의 완전한 준수를 촉구한 것은, 북핵(北核)이 결코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그러면서도 북한이 먼저 핵을 포기할 경우 받게 될 ‘혜택’에 대해서도 언급함으로써 ‘선(先) 핵폐기, 후(後) 보상’ 방침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북핵 저지를 위한 국제 공조체제는 북한의 반응을 보아가며 구체적인 대응과 압력수단을 강구해 나가겠지만, 이 과정에서 한·미·일·중 4국은 각자의 한반도 또는 동북아 전략에 따라 미묘한 입장차이를 드러낼 가능성이 없지 않다. 또 북한은 이를 교묘하게 이용하려 들 것이 자명하다. 미국의 북한 변화에 대한 요구, 일본의 대북관계 개선의욕, 중국의 대북 영향력 유지 노력이 북핵문제를 둘러싸고 어떻게 갈등하고 조화를 이룰 것인지가 관건인 것이다.

현 정부의 최우선 과제는 관련국들의 이런 다양한 입장을 효율적으로 집약해 북한이 하루속히 핵을 포기하도록 설득하고 압박하는 일이지만, 과연 그런 의지와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우리 국정원도 북한이 이미 핵무기를 제조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시인하는 지경이고 보면, 그동안 현 정부가 이를 숨긴 채 대북지원에 열을 올려 온 사실은 새삼 배신감을 느끼게 한다.

이제라도 현 정부는 생각을 확실하게 바꿔야 한다. 북핵문제 해결에서 우리가 소극적 자세를 보이면서 오히려 국제공조의 걸림돌처럼 여겨진다면 앞으로 한반도 문제에서 우리의 입지는 사라지고 말 것이다. 그동안의 대북 지원이나 경협으로 쌓은 대북 영향력을 이럴 때 활용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도대체 무엇을 위한 것이었는지가 새삼 도마 위에 오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