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돈구(李敦求)·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동북아산림포럼 공동운영위원장

광복 전 북한은 남한보다 더 좋은 산림자원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1980년대 이후 산림 황폐화가 가속됐다. 북한은 10년 내에 150만 정보의 산림을 복구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종자·묘목과 장비·기술·경험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북한의 훼손된 산림 복구는 식량과 물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일이다. 나아가 북한의 산림이 울창한 나무로 녹화(綠化)됨으로써 통일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한반도 생태계가 보다 효율적으로 보전·관리될 수 있다.

여기에는 남한의 많은 기업체와 민간 단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어야 한다. 우선 한 개 단체 또는 기업체가 북한의 묘포장 1개를 맡아 복구·관리를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물자 지원과 더불어 산림학자 및 임업인 간 교류가 매우 중요하다. 남한은 산림 복원에 관한 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다양한 기술과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남한은 한국전쟁으로 황폐해진 모든 산림을 성공적으로 복원하였으며, 산림 녹화 및 생태계 복원에 관한 선진 기술과 경험을 축적하게 되었다.

특히 남북한은 비슷한 산림 생태계를 가지고 있는 만큼, 양쪽 산림 전문가들의 교류·협력은 북한의 훼손된 산림생태계 복원에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한반도 생태계를 복원하려면 남북한 과학자들이 손을 잡고 협력해나가야 하고, 민간단체와 기업체 및 정부도 적극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