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30일 군사 정찰위성을 오는 6월 발사하겠다고 발표했다. 전날 북한의 위성 발사 예고에 한미일 3국이 공동으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중단 촉구를 했지만, 발사를 강행하겠다고 한 것이다. 군은 유사시 북 위성 발사체 요격, 발사체 잔해 수거 등 비상 대응 조치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군 서열 2위인 리병철 노동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입장문에서 “오는 6월 우리의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곧 발사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와 함께) 새로 시험할 예정인 다양한 정찰수단들은 미국 등의 군사행동을 실시간으로 추적·감시·판별하고 사전 억제·대비해 군사 준비 태세를 강화하는 데 필수 불가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위성 발사 목적이 한미 전략 자산 등을 감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힌 것이다. 그러면서 발사 명분으로 지난 4월 한미 정상이 ‘워싱턴 선언’에서 합의한 ‘미 전략 핵잠수함(SSBN)’의 한반도 전개, 한미 연합훈련, 한국 주관의 다국적 해양차단훈련 등을 거론했다. 미 전략 자산 전개 등 ‘핵우산(확장 억제)’은 북한 핵·미사일 위협을 억지하기 위한 목적인데 이 같은 조치를 문제 삼아 정찰위성을 쏘겠다는 주장을 편 것이다. 유엔 결의를 어기는 자신들의 정찰위성 발사를 정당화하며 한국과 미국, 일본 등에 책임을 떠넘기겠다는 의도인 셈이다.

북한이 위성 발사 준비에 돌입한 정황도 포착됐다. 미국의소리(VOA)는 미 민간위성업체 ‘플래닛 랩스’가 지난 29일 촬영한 위성사진을 분석해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과 인근에 건설 중인 제2발사장 모두에서 로켓을 장착하는 역할을 하는 이동식 조립 건물이 발사대에 밀착됐다고 보도했다. 가로 30m, 세로 20m 크기인 이동식 조립 건물은 지면에 깔린 선로를 통해 로켓을 운반하는 기능으로 보인다. 북한이 이동식 조립 건물을 이번처럼 발사대에 바짝 붙여 설치한 것이 포착된 것은 2016년 2월 ‘광명성 4호’ 발사 이후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해위성발사장에서 2.7km 거리에서 새로 건설 중인 제2 발사장에도 로켓 장착용 이동식 건물이 밀착 배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군 소식통은 “북 정찰위성 발사가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리 부위원장이 이날 언급한 “새로 시험할 예정인 다양한 정찰 수단들”이 현재 건설 중인 제2 발사장에서 추가 발사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29일(현지 시각)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에서 열린 메모리얼 데이(현충일) 기념식 연설에서 “두 차례 세계대전의 불길 속에서 영원히 맺어진 유대를 바탕으로 구축된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동맹의 힘을 보고 있다”면서 “동맹들과 나란히 서서 평화를 수호하며 한반도를 지키는 군대에서도 동맹의 힘을 확인할 수 있다”고 했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와 함께 핵·미사일 위험 수위를 올리는 북한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폴 러캐머라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사령관도 이날 한국국방연구원 포럼에서 “미국의 한국에 대한 방위 공약은 철통같다. 의심하지 말아달라”고 말했다. 러캐머라 사령관은 “현재 이곳 한국에 사는 미국인의 수, 이 나라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군인의 수, 이 땅에 근무한 군인의 수, 그리고 가족 또는 지인과 함께 이곳에 온 사람의 수를 보라”고 했다. 그는 “우리 동맹은 70년간 굳건했다”면서 “지속적인 위협 앞에서 한국에 대한 미국의 약속은 지속되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