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20일(현지 시각) 소집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가 또다시 아무런 성과 없이 종료됐다.

20일 뉴욕 유엔에서 안전보장이사회 회의가 열렸다. 최근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논의를 위해 열렸지만 별다른 성과 없이 종료 됐다./AFP 연합뉴스
 
20일 뉴욕 유엔에서 안전보장이사회 회의가 열렸다. 최근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논의를 위해 열렸지만 별다른 성과 없이 종료 됐다./AFP 연합뉴스

VOA(미국의소리)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보리 회의에서 미국·영국 등은 북한의 최근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며 의장성명 등 안보리 차원의 대응을 요구했다. 하지만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미국과 동맹국들의 연합 훈련 탓”이라고 북한을 감쌌다. 안보리 의장성명은 상임이사국 반대 없이 전체 이사국의 과반이 찬성해야 채택될 수 있다. 지난해 11월에도 북한 ICBM 발사를 규탄하는 안보리 의장성명이 추진됐으나 중국·러시아의 반대로 무산됐다.

린다 토머스 그린필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이날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해 “고조되는 북한의 군사 도발 속에 이를 보호하려는 이들이 아시아와 전 세계를 분쟁의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며 “일부 상임 이사국이 계속 방해하더라도 우리는 북한 도발을 규탄하는 성명 채택을 계속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안보리가 2017년 12월 이후 북한 핵·미사일 문제에 관해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더 늦기 전에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인 해결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해 당사국 자격으로 이날 회의에 참석한 황준국 주유엔 한국 대사는 “안보리 기능과 유엔 헌장을 이토록 노골적으로 위협하는 유엔 회원국은 북한뿐”이라고 비판했다. 토머스 그린필드 미국 대사는 이날 회의가 끝난 후, 한국과 일본 등 11국을 대표해 북한을 규탄하고 안보리 차원의 대응을 요구하는 장외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그는 “북한의 ICBM 발사는 안보리 결의와 목적을 시험하는 것”이라며 “이제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