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준국 유엔 주재 한국 대사가 20일(현지 시각) 북한의 비확산을 주제로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AFP 연합뉴스
 
황준국 유엔 주재 한국 대사가 20일(현지 시각) 북한의 비확산을 주제로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AFP 연합뉴스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문제를 논의하려 20일(현지 시각) 소집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가 또 아무런 성과 없이 ‘빈손’으로 종료됐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선 북한의 비확산을 주제로 안보리 회의가 열렸다. 미국·한국·일본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은 북한의 최근 잇따르는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하게 규탄하며 의장성명 등 안보리 차원의 공식 대응을 요구했다. 하지만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한미 연합훈련 때문”이라고 북한을 감싸며 수포로 돌아갔다.

앞서 미국은 지난해 말에도 북한의 ICBM 발사를 규탄하는 안보리 의장성명 초안을 발의, 채택을 추진했지만 중국과 러시아 등의 반대로 실패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린다 토머스 그린필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이날 “두 상임이사국이 우리를 침묵하게 했다”며 “거부권을 가진 두 이사국이 우리의 모든 노력을 막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안보리가 2017년 12월 이후로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안보리가 더 늦기 전에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바버라 우드워드 주유엔 영국 대사도 “안보리 결의의 심각한 위반을 강력하게 규탄한다”며 “미국의 의장성명 제안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니콜라 드 리비에르 프랑스 대사는 북한의 가상화폐 해킹 등을 비판하며 “북한은 전제조건 없이 대화의 테이블로 돌아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안보리 회의에 ‘이해 당사국’ 자격으로 참석한 황준국 주유엔 한국 대사는 “안보리의 기능과 유엔헌장을 이토록 노골적으로 위협하는 유엔 회원국은 세계에서 북한뿐”이라고 전했다. 반면 다이빙 중국 부대사는 “모든 당사국은 긴장을 고조하고 착오를 가져올 어떠한 행동도 자제해야 한다”며, “올해 초부터 미국과 그 동맹들이 한반도 주변에서 북한을 겨냥한 연합 군사 활동을 증강하고 있다”고 맞섰다.

다이 부대사는 최근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이 한국을 방문한 것을 언급하며 “반복된 긴장 고조가 상황을 통제 불능으로 몰아가고 있다”며 “일부 이사국들이 북핵 이슈에 대해 회의를 밀어붙이고 더 많은 제재와 압력을 촉구하는 건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된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안보리 대북 결의는 대북 제재뿐 아닌, 긴장 고조를 피하고 대화를 통한 해결을 촉진하는 ‘6자회담’ 재개 요구를 담아야 한다”고 부연했다.

드미트리 폴랸스키 유엔 주재 러시아 차석대사도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를 위협하는 어떠한 종류의 군사활동에도 반대한다”며 “(한미 연합훈련 확대가) 상황을 악화시키고 정치적, 외교적 해결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성과 없이 회의가 끝나자 토머스 그린필드 미국 대사는 한국과 일본 등 11국을 대표해 북한을 규탄하고 안보리 차원의 공동 대응을 요구하는 장외 성명을 낭독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