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국가정보원과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는 민주노총 전·현직 간부 4명은 북한 노동당 산하 대남 공작 조직인 ‘문화교류국’ 소속 공작원들과 해외에서 접촉한 것으로 18일 전해졌다. 앞서 간첩단 혐의 지하조직 사건으로 수사받고 있는 경남 창원·진주의 ‘자주통일 민중전위’와 제주의 ‘ㅎㄱㅎ’도 북한 문화교류국 소속 공작원 김명성에게 지령을 받았다고 방첩 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9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8차 회의가 17일부터 18일까지 만수대의사당에서 진행됐다"라고 보도했다. 김정은 총비서는 참석하지 않았다. /노동신문 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9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8차 회의가 17일부터 18일까지 만수대의사당에서 진행됐다"라고 보도했다. 김정은 총비서는 참석하지 않았다. /노동신문 뉴스1

북한 문화교류국은 한국 시민·노동 단체 인사들을 포섭해 지하조직을 만들고 이를 통한 기밀 수집, 북한 체제 선전 등을 목표로 하는 조직이다. 간첩을 남파시켜 유사시에 무장봉기를 유도하거나, 반(反)김정은 인사에 대한 테러와 암살 등 임무도 맡고 있는 걸로 알려졌다.

문화교류국은 북한의 대남 공작 기관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조직이라고 한다. 북한 정권 초기인 1946년 북조선노동당 산하 ‘서울공작위원회’가 모태가 됐으며 이후 문화연락부, 사회문화부, 대외연락부, 225국 등으로 이름을 바꾸다가 2015년 4월 문화교류국이 됐다.

문화교류국 산하에는 공작원을 양성하는 ‘봉화정치학원’, 공작에 필요한 장비 등을 개발하는 ‘314 연락소’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거리나 시설과 비슷한 환경을 구현해 놓은 ‘남조선 환경관’, 외화벌이와 공작금 조달을 위한 ‘무역상사’ 등도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북한에서 ‘선생’이라는 호칭을 듣는 문화교류국 공작원들은 뼛속까지 공산주의 이념으로 무장돼 있는 공작원 중에서 선발되며 한국의 정치·경제·문화에 해박하다고 전해진다.

문화교류국은 1992년 여간첩 이선실 사건(조선노동당 중부지역당 사건), 1999년 민족민주혁명당 사건, 2006년 일심회 간첩단 사건, 2011년 왕재산 간첩단 사건 등 대형 간첩 사건의 배후로 지목된다. 2021년 9월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돼 현재 1심 재판을 받고 있는 ‘자주통일 충북동지회(청주간첩단 사건)’도 2017년부터 문화교류국 소속 공작원 조모씨와 이모씨로부터 지령을 받으며 활동한 것으로 조사됐다.

방첩 당국 관계자는 “문화교류국은 직접 한국 내 주사파 등 종북 세력과 반정부 인사들을 포섭해 그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한국 사회의 교란을 시도하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