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정다운
 
/일러스트=정다운

북한 김정은이 지난해 1월 핵 추진 잠수함·정찰위성 등 ‘5대 전략 무기’ 개발을 공언한 이후 국내 원자력 관련 기관과 방산업체 등에 대한 북한의 해킹 공격 시도가 급증했다고 국정원이 22일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의 휴대전화도 북한의 공격 대상으로 보고 특수 장비 등을 이용해 대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해커들은 반도체·배터리 등 첨단 기술 탈취를 집요하게 시도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정원은 이날 ‘사이버 안보 위협’ 브리핑에서 “올해 국내 시설을 겨냥한 해킹 공격이 하루에만 평균 118만여 차례 벌어졌다”고 했다. 국정원은 최근 사이버 공격이 고도화하고 관련 피해도 커짐에 따라 지난달 30일 경기도 판교 테크노밸리에 민·관·군이 한데 모인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NCCC)’를 열었다. 이날 브리핑은 NCCC에서 백종욱 국정원 3차장(사이버 안보 담당)이 직접 진행했다.

국정원은 지난 11월 30일 경기도 판교 테크노밸리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를 개소했다. /국정원 제공
 
국정원은 지난 11월 30일 경기도 판교 테크노밸리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를 개소했다. /국정원 제공

국정원은 “해킹 공격을 가장 많이 하는 세력은 북한으로 전체 건수의 55.6%를 차지한다”면서 “중국은 4.7%, 기타 각종 세력이 39.7%”라고 밝혔다. 북한은 김정은의 ‘5대 전략무기’ 발표 이후 원자력연구소, 항공우주연구원 등 원자력·우주 관련 기관과 함께 탱크·전투기·잠수함 등을 생산하는 방산업체에 대한 해킹에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된 정보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백종욱 차장은 “김정은이 방향을 잡아 발표하면 북한 조직의 모든 움직임이 커진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전화 통화하는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전화 통화하는 모습. /연합뉴스

백 차장은 “‘브이아이피(VIP 대통령)’의 휴대전화와 이메일 해킹 문제는 초미의 관심사로, 북한 등 공격 조직의 최상 타깃일 것”이라며 “국정원은 그런 공격을 염두에 두고, 해킹을 막는 장비와 프로그램 등을 만들어 제공한다”고 말했다.

백 차장은 또 “북한은 과거 핵실험 직후 국제사회의 제재에 대한 반발로 사이버 공격을 하는 패턴을 보였다”며 7차 핵실험 이후 북 사이버 공세를 예상했다. ‘카카오 먹통 사태’ 등을 보고 주요 기반 시스템에 대한 해킹 공격 가능성도 우려했다. 북한이 ‘딥페이크(deep fake) 기술’을 활용한 가짜 영상으로 대남 공작을 펼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백종욱 국정원 3차장 /국정원
 
백종욱 국정원 3차장 /국정원

국정원은 제재로 외화벌이가 어려워진 북한이 암호 화폐를 노리는 공격을 늘릴 것으로 예상했다. 북한이 2017년부터 올해까지 6년간 전 세계에서 탈취한 가상자산 규모는 1조5000억원으로 추산되며, 올해에만 8000억원을 훔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국정원은 전했다. 국정원은 사이버 역량 강화를 위한 법 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