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방역 교육 중인 북한 송신종합진료소. /노동신문 뉴스1
 
코로나 방역 교육 중인 북한 송신종합진료소. /노동신문 뉴스1

지난 10년간 감소해왔던 북한 내 말라리아 발병 건수가 지난해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8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이날 세계보건기구가 공개한 ‘2022 세계 말라리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 내 말라리아 발병 환자는 2357명으로 집계됐다. 북한 내 말라리아 확진자 수는 2012년 2만1850명으로 최고점을 찍고 매년 감소해 2020년에는 1819명까지 떨어졌지만, 2021년 다시 22.8% 증가했다. 다만, 북한 내 말라리아로 인한 사망자는 2010년부터 2021년까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보고됐다.

WHO의 말라리아 관련 책임자인 압디살란 누어 박사는 6일 기자회견에서 “코로나 사태로 인해 세계보건기구의 말라리아 퇴치 활동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누어 박사는 “지난 2년간 코로나와 관련된 혼란들로 말라리아 관리에 부담이 늘어났다”면서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약 6만3000명의 말라리아 사망자와 약 1300만 건의 말라리아 발병 사례가 코로나 전염병에 따른 혼란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라고 추정한다”고 했다.

RFA는 코로나 사태로 인한 대북 지원단체의 활동과 물품 지원에 차질이 있었던 것도 북한의 말라리아 통제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북한 내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 지원을 돕는 국제협력단체 글로벌펀드는 RFA에 “현재 북한에 의약품을 전달하고 지원 활동을 이행하는 데 제약이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 방역을 위한 북한의 국경 봉쇄로 인해 2021년 북한 내 말라리아 발병 건수 중 해외에서 감염된 사례는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WHO는 또한 북한 주민 약 2500만명 중 1000만명을 말라리아 위험군으로, 이 중 145만명을 고위험군으로 분류했다.

한편, WHO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유행이 본격화한 2020년 전 세계 말라리아 감염 건수는 2억4500만건으로 5.6% 증가했다. 지난해에도 증가세를 이어가며 전년 대비 0.8% 증가한 2억4700만건을 기록했다. WHO는 세계 각국이 코로나 대응에 의료 서비스를 집중하다 보니 말라리아 환자의 증가세를 막는 데 한계가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