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일 동해상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면서 경북 울릉군 전역에 공습경보가 발령됐으나 주민들은 울릉군의 안내가 늦어져 제대로 대피도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이 2일 오전 동해상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가운데 이날 오전 10시 50분쯤 울릉군청에서 긴급대책회의가 열리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북한이 2일 오전 동해상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가운데 이날 오전 10시 50분쯤 울릉군청에서 긴급대책회의가 열리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울릉군에 따르면 이날 울릉군 전역에는 오전 8시 55분부터 약 3분간 공습경보 사이렌이 울렸다. 그러나 울릉군이 주민들에게 대피 안내 문자를 보낸 것은 경보가 발령된 지 약 25분이 지난 오전 9시 19분 37초였다. 울릉군은 대피 안내 방송도 이날 오전 9시 43분쯤에야 했다. 공습경보가 발령된지 45분이 지나서야 주민들에게 경보 내용이 실제 상황임을 알리는 방송을 한 것이다.

울릉군이 2일 공습경보가 발령되자 주민들에게 보낸 재난안전문자. /독자제공
 
울릉군이 2일 공습경보가 발령되자 주민들에게 보낸 재난안전문자. /독자제공

그러나 경북도의 재난상황 메뉴얼에는 공습 경보 후 담당 지자체는 즉시 대피방송을 하고 재난 안전문자를 보내야 하는 것으로 돼 있다.

이에 대해 울릉군 관계자는 “공습 경보가 울리는 상황을 처음 겪다 보니 경보가 울린 경위를 파악하는 등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군 단위 대응회의 등을 하다가 부득이하게 주민에 안내가 늦어졌다”고 해명했다.

울릉군의 안내가 늦어지면서 주민들은 공습 경보 소리를 119 구조대 소리나 민방위 소리로 착각하는 등 우왕좌왕했다.

김해수 울릉어업인연합회장은 “사이렌이 울렸지만 무슨 영문인지 모르는 대다수 주민들이 그냥 민방위 훈련인 줄 알고 일상생활을 했다”며 “대피방송도 했다고는 하는데 듣지 못해서 방송을 했는지 안했는지도 모르겠다”고 말했다.

반면 울릉군 공무원들은 공습경보 발령 당시 긴급하게 군청사 내 지하공간 등으로 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보 발령 이후인 이날 오전 9시 5분쯤 울릉군에 있던 공공기관 직원들에게 전달된 대피 안내 메시지에도 ‘실제상황 즉시대피 바람’이라고 쓰여 있었다. 이 메시지 역시 주민들에게 대피 안내 문자가 전달된 것보다 14분 먼저 전달됐다.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동해상으로 발사한 뒤 경북 울릉 전역에 공습경보가 발령되자 군청 공무원들이 황급히 대피소로 대피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동해상으로 발사한 뒤 경북 울릉 전역에 공습경보가 발령되자 군청 공무원들이 황급히 대피소로 대피하고 있다. /연합뉴스

공무원들이 군청 내 지하 대피소 등을 이용해 대피를 한 반면 대다수 주민들은 울릉군 내 대피소가 어디인지도 잘 모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울릉군에 따르면 울릉읍 도동에 6곳, 사동 1곳, 저동에 1곳 등 울릉군 전역엔 총 8곳의 지하대피소가 있다. 이 대피소의 총 수용 가능 인원은 3170명이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날 북한은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했고, 이중 1발은 동해 NLL 이남 공해상에 탄착됐다. 군 당국은 탄착 지점은 NLL 이남 26㎞, 속초 동방 57㎞, 울릉도 서북방 167㎞라고 밝혔다. 미사일 방향이 울릉도 쪽이었기 때문에 공군 중앙방공통제소(MCRC)와 탄도탄 경보 레이더 등과 연계된 중앙민방위경보통제센터는 울릉군에 자동으로 공습경보를 발령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