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8월 3일 공개된 북한 선적 유조선 ‘남산 8호’의 불법 선박 환적 현장 사진. /조선일보 자료사진
 
2018년 8월 3일 공개된 북한 선적 유조선 ‘남산 8호’의 불법 선박 환적 현장 사진. /조선일보 자료사진

24일 새벽 북한 선박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하면서 우리 해군 함정이 대응 사격에 나서고 공군 전투기가 출격하는 등 일촉즉발 상황까지 갔던 것으로 나타났다. 침범 선박명은 ‘무포호’로 과거 스커드 미사일을 싣고 중동 시리아로 향하다 적발된 배와 같은 이름인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은 시리아와 핵·미사일 개발 커넥션을 오랜 기간 유지하는 사이로 알려져 있다.

북한 선박은 약 40분간 NLL 이남 3.3㎞까지 침범했으며 이후 북상해 중국 방향으로 빠져나갔고, 이 과정에서 북한은 우리 군함이 자신들이 주장하는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상했다는 억지 주장까지 펼쳤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 상선 무포호는 이날 오전 3시 42분 서해 백령도 서북방 약 27㎞에서 NLL을 침범했다. 군은 무포호가 남하할 때 NLL 침범 이전부터 1차 경고 통신을 지속했고 그런데도 침범을 하자 2차 경고 통신을 시행했다. 무포호가 여전히 항로를 변경하지 않자 군은 M60 기관총을 이용한 경고 사격을 1, 2차에 걸쳐 각 10발씩 총 20발 가했다.

이후 북한 상선은 오전 4시 20분 항로를 변경해서 NLL 이북으로 올라갔고 이후 군은 무포호가 NLL 끝단을 통과해 항해하고 있으며 방향 등으로 볼 때 중국 쪽으로 향한다고 판단했다.

북한 상선이 NLL을 침범한 것은 2017년 1월 동해상에서 발생한 상황 이후 5년 9개월 만이라는 게 군의 판단이다.

올해 3월 백령도 인근에서 북한 선박이 항로 착오로 NLL을 넘어와 우리 군이 나포했다가 조사 후 다음날 송환한 적이 있었지만, 당시는 의도성은 없었다는 것이다.

군은 의도적이지 않은 조난 또는 기관 고장에 따른 경우를 월선, 그 외 의도적인 상황은 침범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날 우리 군은 해군 호위함을 포함한 함정 수 척과 우발 상황에 대비한 공군 KF-16 등 초계전력 및 해병대 등 합동 전력을 동원해 대응에 나섰다.

우리 함정은 무포호에 1㎞ 거리까지 근접했으며, 북한 측은 ‘북측 해역에 접근하지 말라’는 취지의 이른바 ‘부당통신’을 시행했다고 군 관계자가 전했다.

부당통신은 군 당국이 인정하지 않는 ‘부당한’ 통신 내용을 일방적으로 발신하는 것으로, 북한은 평상시에도 한국 선박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에 접근하면 ‘이탈하라’고 경고한다고 한다.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북한군의 미사일 발사 훈련을 지도했다고 노동신문이 27일자로 보도하면서 사진을 함께 실었다. 신문은 사진을 찍은 장소와 시간을 밝히지 않았지만 지난 26일 밤 황해도 장산곶에서 진행된 미사일 발사 때 모습인 것으로 추정된다
 
2014년 7월 북한 김정은이 북한군의 미사일 발사 훈련을 찾은 모습. 노동신문은 사진을 찍은 장소와 시간을 밝히지 않았지만 앞서 하루 전날 밤 황해도 장산곶에서 진행된 미사일 발사 때 모습인 것으로 추정된다. /노동신문 조선일보

북한은 무포호가 NLL 북쪽으로 돌아간 이후인 오전 5시 14분께 황해남도 장산곶 일대에서 서해 NLL 북방 해상완충구역으로 방사포 10발을 발사해 또다시 9·19 군사합의를 위반했다.

방사포 사격은 무포호가 침범한 NLL 해역과 다소 거리가 있는 까닭에 두 상황이 직접 연계되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 북한군 총참모부는 오전 6시 7분 대변인 명의 발표로 “오늘 새벽 3시 50분경 남조선 괴뢰해군 2함대 소속 호위함이 불명 선박 단속을 구실로 백령도 서북쪽 20㎞ 해상에서 아군 해상군사분계선을 2.5∼5㎞ 침범해 ‘경고사격’을 하는 해상적정이 제기되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군대는 24일 5시 15분 룡연군일대에서 사격방위 270°(도)방향으로 10발의 위협경고사격을 가하였다”고 주장했다.

북한이 주장하는 ‘아군 해상군사분계선’은 NLL보다 최대 6㎞ 남쪽에 북한이 임의로 설정한 선으로, 남측과 국제사회가 인정하지 않는 개념이다.

군 관계자는 “우리는 NLL을 기준으로 정상적 조치를 했고, NLL 수호를 위해 우리 군이 노력하고 있는 부분이며 우리는 북한 주장을 수용하지 않는다”며 “(NLL과 북한 주장 해상군사분계선 사이 해역은) 정상적인 우리 작전구역”이라고 강조했다.

우리 함정은 이날 대응 중 NLL을 넘지 않았고, 경고 사격으로 시행한 기관총탄도 NLL을 넘어가지 않았다고 군은 밝혔다.

2019년 4월 30일 당시 박명국 북한 외무성 부상과 파이살 미크다드 시리아 외무 차관이 시리아 다마스쿠스에서 만나 회담을 하고 있는 모습. 북한과 시리아는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 협력 관계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EPA 연합뉴스
 
2019년 4월 30일 당시 박명국 북한 외무성 부상과 파이살 미크다드 시리아 외무 차관이 시리아 다마스쿠스에서 만나 회담을 하고 있는 모습. 북한과 시리아는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 협력 관계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EPA 연합뉴스

한편 무포호는 1991년 9월 스커드 미사일을 싣고 시리아로 향하다가 미국·이스라엘 등의 감시에 걸려 미사일을 인도하지 못한 채 귀항한 배와 명칭이 같다.

이날 NLL을 침범한 무포호는 약 5000t급으로 벌크선 외형을 하고 있으며 군은 식별 장비로 무포호라는 사실을 파악했다.

군은 상선인 무포호가 다른 목적을 가진 위장선 역할을 한 것인지, 침범이 우리 군 대응을 유발함으로써 국지도발 등 수위 높은 무력 시위에 나설 명분을 축적하려는 의도인지 등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북한 도발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해병대 6여단 장병들이 새벽 북한 영해와 장산곶이 보이는 인천 옹진군 백령도 하늬해안에서 철책을 따라 해안탐색 작전에 나서며 물 샐틈 없는 철통경계를 서는 모습. /뉴시스
 
북한 도발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해병대 6여단 장병들이 새벽 북한 영해와 장산곶이 보이는 인천 옹진군 백령도 하늬해안에서 철책을 따라 해안탐색 작전에 나서며 물 샐틈 없는 철통경계를 서는 모습. /뉴시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