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1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 한 빌딩에서 열린 ‘글로벌 펀드 제7차 재정 공약 회의’를 마친 뒤 마주 보며 대화하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1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 한 빌딩에서 열린 ‘글로벌 펀드 제7차 재정 공약 회의’를 마친 뒤 마주 보며 대화하고 있다. /뉴시스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도발로 동북아 정세가 요동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미국이 각급 외교 채널을 총동원해 대북 경고에 나섰다. 한미는 “유례없이 긴밀한 공조가 이뤄지고 있다”고 평가하며 “북한이 추가 도발을 감행하면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은 4일 저녁 카운터 파트인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 모리 다케오(森健良)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한·미·일 외교차관 통화를 가졌다. 3국 차관은 “북한의 반복되는 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에 해당하고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했다. 세 사람은 이달 중 도쿄에서 외교차관협의회를 개최해 향후 대응 방향 등에 대해 협의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조 차관은 셔먼 부장관과도 별도로 통화를 가졌는데 한미는 “굳건한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고 한미 간 확장억제(핵우산) 실행력을 지속 제고하는 가운데 북한이 추가 도발을 감행할 경우 강력히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방한(訪韓), 뉴욕에서 이뤄진 조 바이든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간 정상 회동 등을 언급하며 “양국 간 최고위급에서 전례없이 긴밀한 공조가 이뤄지고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이런 가운데 5일에는 정 박(Jung Pak) 미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가 방한해 이태우 북핵외교기획단장(북핵차석대표)과 전영희 평화외교기획단장을 차례로 만나 협의를 가졌다. 한미 북핵차석대표 간 오찬에서는 “안보리 대북제재를 철저히 이행하는 한편 불법 사이버 활동 대응을 위한 한미 간 공조 방안이 논의됐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이와 함께 북한의 도발 중단과 대화 복귀를 견인하기 위한 한미 간 공조가 강조됐다.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와 7차 핵실험이 기정사실화하면서 동북아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한미는 각급 외교 채널을 총동원하는 모습이다. 4일에도 박진 장관이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은 묵과될 수 없다”며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응 등 향후 대응 방향에 대해 긴밀한 소통과 강조를 강화해 나가자”고 했다. 이에 따라 5일(현지 시각) 오후 3시쯤 안보리가 공개 회의를 열어 이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김건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성 김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후나코시 다케히로(船越健裕)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간 3자 유선협의도 이뤄져 “북한이 추가적인 도발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