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24일  북한이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라고 주장하는 '화성-17형'을 발사하는 장면. /노동신문·뉴스1
 
2022년 3월 24일 북한이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라고 주장하는 '화성-17형'을 발사하는 장면. /노동신문·뉴스1

북한이 25일 평양 순안 일대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등 3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올해 들어서만 17번째 무력 도발로, 한·일 순방을 마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귀국행 비행기에 탑승 중인 가운데 이뤄진 것이다. 한·미는 곧바로 안보·외교·국방 분야 고위급 채널을 전면 가동했고, 한국군의 현무-II와 미군의 ATACMS(에이테킴스) 미사일을 공동으로 대응 발사하는 ‘찰떡 공조’를 선보였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6시, 6시 37분, 6시 42분 세 차례에 걸쳐 북한이 평양 순안 일대에서 발사한 탄도미사일을 각각 포착했다고 밝혔다. 첫 번째 미사일은 화성-17형 ICBM(비행거리 360㎞, 고도 540㎞), 두 번째와 세 번째 미사일은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라 불리는 SRBM(단거리탄도미사일)으로 각각 추정됐다. 이번 도발은 바이든 대통령이 탑승한 전용기 ‘에어포스 원’이 미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착륙하기 2시간 전에 이뤄졌다. 바이든 대통령이 이번 한·일 순방 기간 보인 북·중·러 견제 행보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지하의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  국가안보회의(NSC)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지하의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 국가안보회의(NSC)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전 7시 30분부터 취임 후 첫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어 “한·미 정상 간 합의된 확장억제 실행력과 한·미 연합 방위 태세 강화 등 실질적 조치를 이행하라”고 했다. 한·미는 이날 4년 10개월 만에 한·미 연합 지대지미사일 실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NSC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한반도와 국제 평화를 위협하는 중대한 도발”로 규정하며 ▲한·미 공조를 통한 대북 제재의 철저한 이행과 ▲한·미 연합 방위 태세 강화 등을 주문했다. 윤석열 정부 명의로 발표된 성명에서도 “북한의 도발은 더 강력하고 신속한 한·미 연합 억제력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며 “굳건한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실질적 조치를 취할 것”이란 내용이 담겼다.

이날 북한 도발에 맞서 우리 정부가 취한 군사·외교적 조치들 모두 한·미 간 공조를 통해 이뤄졌다. 합참은 오전 10시 20분쯤 “한·미 미사일 부대가 한국군의 현무-II, 미군의 ATACMS(에이테킴스)를 1발씩 동해상으로 발사하는 연합 지대지미사일 실사격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도발에 대해 한·미 군 당국이 공동 대응한 것은 2017년 7월 이후 4년 10개월 만이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 정부는 북한 군사 행동에 대해 상응하는 후속 조치를 한·미가 함께 실천한다는 원칙을 세웠다”고 했다.

북한이 25일 동해상에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한미 군 당국이 동해상으로 미사일을 발사하며 대응에 나섰다. 주한미군 측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한미 연합군의 위기 대응 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미군과 한국군이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한국군의 현무-2가 발사되는 모습. /합동참모본부 제공
 
북한이 25일 동해상에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한미 군 당국이 동해상으로 미사일을 발사하며 대응에 나섰다. 주한미군 측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한미 연합군의 위기 대응 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미군과 한국군이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한국군의 현무-2가 발사되는 모습. /합동참모본부 제공

한·미 간 안보·외교·국방 분야 고위급 채널도 전면 가동됐다. 이날 오전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통화한 것을 시작으로 한·미 외교장관과 국방장관 간 유선 협의가 순차적으로 이뤄졌다. 김 실장과 설리번 보좌관은 “북한의 즉각적인 도발 중단을 촉구하는 한편, 한·미 연합 방위 태세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외교장관 통화에선 ▲새로운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안 채택의 필요성, 국방장관 통화에선 ▲미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와 ▲한·미 고위급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조기 개최 등이 각각 논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그에 상응하는 한·미 공조는 전날 중국과 러시아의 폭격기·전투기 6대가 우리 방공식별구역(KADIZ)에 무단 진입한 지 하루 만에 나온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의 한·일 순방,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출범 등과 맞물려 외교가에서는 “동북아에서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가 다시 뚜렷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이날 북한 도발과 관련해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일본 외무대신과 통화하기도 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6시 3분에 최초로 보고를 받았고, 평소보다 이른 오전 7시 10분쯤 용산 대통령실로 출근했다. 평소 머리를 오른쪽으로 넘겨 고정했던 것과 달리 이날은 다소 헝클어진 모습이었는데 그만큼 상황이 급박했던 것으로 보인다.

공군이 지난 24일 '엘리펀트 워크(Elephant Walk)' 훈련을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엘리펀트 워크 훈련은 여러 대의 전투기가 최대 무장을 장착하고 활주로에서 밀집 대형으로 이륙 직전 단계까지 지상 활주를 하는 훈련이다. 사진은 훈련 중인 전투기. /합동참모본부 제공
 
공군이 지난 24일 '엘리펀트 워크(Elephant Walk)' 훈련을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엘리펀트 워크 훈련은 여러 대의 전투기가 최대 무장을 장착하고 활주로에서 밀집 대형으로 이륙 직전 단계까지 지상 활주를 하는 훈련이다. 사진은 훈련 중인 전투기. /합동참모본부 제공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