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1일 상호방위조약 성격의 조·중 우호조약 체결 60주년을 맞아 친서를 주고받았다. 하지만 이날을 계기로 재개설이 돌았던 양측의 고위급 인사와 물자의 교류는 이뤄지지 않았다. 코로나 사태에 따른 북·중의 봉쇄 기조가 한동안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양측이 교환한 친서 전문을 공개했다. 김정은은 친서에서 “(조·중 우호) 조약은 적대 세력들의 도전과 방해 책동이 보다 악랄해지고 있는 오늘 두 나라의 사회주의 위업을 수호하고 추동하는 데서 더욱 강한 생활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했다. 시진핑은 “지난 60년간 쌍방은 조약의 정신에 따라 서로 굳건히 지지하고 어깨 겯고 투쟁하면서 형제적인 친선을 강화해 왔다”고 했다.

1961년 7월 11일 김일성(당시 수상)과 저우언라이 중국 총리가 서명한 조·중 우호조약은 북·중 관계를 떠받치는 근간으로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비견된다. 조약 2조는 ‘어느 한쪽이 침략을 받으면 다른 한쪽은 지체 없이 군사원조를 제공한다’고 돼 있다. 중국이 언제든 한반도에 무력 개입할 길을 열어놓은 ‘자동 개입 조항’이다. 북한 정권 입장에서 ‘체제 보위의 최후 안전판’으로 평가되는 이유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 사이에선 “코로나 상황이 심각하지만 고위급 인사 교류가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적지 않았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도 “7월 11일을 전후로 고위급 인사의 방중 또는 방북이 예상된다”고 했다. 정부 관계자는 “조중우호조약 60주년을 이렇게 소박하게 보냈다는 건 코로나 상황에 대한 북·중의 우려가 우리의 상상 이상이란 얘기”라고 했다.

조약 체결 50주년이었던 2011년의 경우 북한은 양형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을, 중국은 장더장 부총리를 각각 상대 측에 파견해 대규모 기념 행사를 열었고 각종 부대 행사들이 1주일 넘게 이어졌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