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기 2차 정치국 확대회의 주재하는 김정은 총비서/뉴시스
 
8기 2차 정치국 확대회의 주재하는 김정은 총비서/뉴시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잇따라 간부들의 부정부패, 기강해이를 지적하며 긴장감을 조성하고 있다. 실제로 당 최고위직인 상무위원을 경질하기도 했다. 경제난의 책임을 간부들에게 돌리며 ‘김정은식 공포정치'를 재개한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노동신문은 4일 ‘당 결정은 뼈가 부서져도 끝까지 관철해야 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충신의 모습은 시국이 좋을 때보다 어려울 때 뚜렷이 나타난다”고 했다. 지난 1일 사설에서 “간부가 된 것을 타고난 팔자처럼 여기면서 당성 단련을 게을리하고 혁명화 불도가니에 스스로 뛰어들지 않는다면 사상적으로 부패 변질해 나중에는 당도 인민도 몰라보는 ‘반당 반혁명’의 길로 굴러떨어지게 된다”고 했다. 이 같은 공개 경고장은 김정은이 ‘중대 사건’을 언급하며 북한 최고위 권력 서열인 정치국 상무위원, 정치국 위원, 후보위원 일부와 당 비서 등 간부들을 무더기 징계한 직후에 나왔다.

김정은은 올해 상반기에만 전례 없이 당 전원회의를 3차례 개최하며 간부들에 대한 숙청을 단행했다. 올해 1월 당 8차대회에서 고위급 간부들의 비리 감찰을 전담하는 부서인 ‘규율조사부’를 설치했고, 4월 당 세포비서대회 폐막식에서는 “제2의 고난의 행군”을 직접 언급했다. 정부 관계자는 “인민이 아니라 간부들을 향해 ‘고난의 행군’을 준비하라는 압박”이라고 했다. 지난 1월 임명된 김두일 당 경제부장은 공개 비판을 받고 한 달 만에 교체됐고, 박태성 당 선전선동 비서 겸 부장도 임명 2개월 만에 사라져 실각·숙청설이 나온다. 특히 지난달 29일 당 정치국 확대회의를 열고 상무위원과 정치국 위원 및 후보위원 등 간부들을 무더기로 해임한 것은 ‘피바람'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김정은의 공포정치 재개는 경제난으로 악화된 민심을 돌리기 위해 간부들에게 책임을 떠넘기려는 의도로 보인다. 북한은 1990년대 후반 고난의 행군 시기에도 식량 생산을 파괴했다며 농업 담당 비서를 총살하고, 2010년에는 화폐개혁 실패의 책임을 물어 당 재정부장을 처형한 바 있다. 2013년 장성택 당 행정부장, 2015년 군부 핵심 현영철 인민무력부장을 처형하기도 했다. 고위급 탈북민 A씨는 “아래로부터의 불만이 김정은 자신에게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려는 목적”이라며 “내부 동요와 불만을 잠재우기 위한 공포정치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