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일(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지난 12일 국내 언론사 사장단에게 밝힌 ‘9·10월 이산상봉’은 어떤 형태로 이뤄지는지 아직 단언하기 어렵다.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규모로 어떤 절차를 밟아 언제 상봉을 하게 할지는 오는 29일부터 31일까지 평양에서 열릴 제2차 장관급회담에서 논의될 것 같다. 장관급 회담의 남측 수석대표인 박재규(박재규) 통일부 장관은 “북한 측의 설명을 들어 봐야겠다”고 말했다.

즉, 남북한 간에는 이미 면회소 설치 문제를 9월 초 비전향장기수 송환 이후 적십자회담을 열어 협의·확정키로 합의한 바 있는 만큼 ‘9·10월 상봉’이 면회소와 별개 차원인지, 아니면 면회소를 뒤로 미루고 방문단 교환을 하자는 것인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정부는 두 사안의 병행 추진을 북한 측에 설득할 방침이다. 가능한 한 많은 이산가족이 만나 이산의 아픔을 조금이라도 달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시기는 다소 탄력적이다. 만약 북한이 ‘추석전 조기 방문’에 동의한다면 8·15 방문단 때 생사확인이 됐으나 상봉이 이뤄지지 않은 26명과 확인 중인 62명의 생사를 우선 확인, 북한 방문단에 포함시킨다는 것이다.

만약 추석 후로 미뤄져 시간이 충분하면 방북단을 재구성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정부는 북한 측과 규모를 더 늘리는 문제도 협의할 계획이다.

그러나 정부 측도 8·15 교환방문의 경우 20억∼30억원의 비용이 들어가는 등 남북한 모두의 부담이 만만치 않은 점을 감안, 가능한 한 면회소 설치 등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만약 면회소 설치가 9월 중이라도 가능하다면 교환방문 형태보다는 면회소를 통한 상봉 주선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최병묵기자 bmchoi@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