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부터 시작된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18일 끝났다. 서울과 평양에서 각각 100가족이 쏟아낸 눈물은 분단의 아픔을 그대로 보여줬다. 그러나 우리 국민들은 이 장면들을 TV로, 신문으로 보고 듣는 데 한계를 느껴야 했다. 평양의 가족 상봉은 더욱 그랬다. 남북 간에 심각한 불균형이 있었던 것이다. 취재진 규모의 제약 때문이었다.

남북은 이번에 교환방문단을 취재할 보도진을 쌍방 20명씩으로 제한했다. 이중에는 방송·카메라 기자 10명, 사진기자 4명이 포함돼 있다. 헤어진 가족들의 반세기 한(한)을 신문기사로 옮길 취재기자는 6명뿐이었다. 그 숱한 사연을 전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숫자다.

15일 남과 북에서 동시에 이뤄진 단체상봉 때 서울 종합전시장에는 남측 공동취재단 취재기자가 30명이나 있었지만, 북한 고려호텔에는 6명만이 취재에 나섰을 뿐이다.

서울 프레스센터는 평양의 공동취재단에 생생한 상봉 장면과 기사를 보내줄 것을 요구했으나, 평양에 간 취재단은 사전 정보의 부족, 송고 수단의 한계 등 어려움들을 호소해왔다. 그들의 ‘취재난(난)’은 평양에 가본 사람이라면 익히 알 만한 사정이었다. 그런 여건 속에서 우리 공동취재단은 열심히 뛰었지만, 숫자 자체가 워낙 적어 역부족이었다.

6월 남북정상회담 때도 북한은 남한의 80명 요청에 40명으로 맞서다 50명으로 낙착지었다. 6월 말 적십자 실무 접촉 때 북 측은 총 취재진을 10명씩으로 줄이기까지 했다. 북한으로서는 남한의 ‘많은’ 취재기자들이 이리 뛰고 저리 뛰는 모습을 이해하기 어려울지 모른다.

그러나 우리 국민들은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보고 들을 권리가 있다. 다른 일도 아니고 민족 모두의 지대한 관심사인 남북문제가 아닌가?

/최병묵 정치부차장대우 bmchoi@chosun.com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