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 없어 발방아를 찧는 북한 주민들/강동완 교수 제공
 
전기가 없어 발방아를 찧는 북한 주민들/강동완 교수 제공

“북중국경에서 바라본 북녘의 모습은 평양과는 사뭇 달랐다” 강동완 동아대학교 교수가 북중 국경에서 촬영한 수 천장의 사진을 모아 신간 ‘평양 882.6km – 평양공화국 너머 사람들’ 을 최근 발간했다.

북중 국경지역 북한 주민들이 철조망 옆을 지나고 있다./강동완 교수 제공
 
북중 국경지역 북한 주민들이 철조망 옆을 지나고 있다./강동완 교수 제공

이번 책은 강 교수의 지난 저서 ‘평양 밖 북조선’과 ‘그들만의 평양’에 이어 북·중 국경에서 사진으로 담은 북한주민들의 삶을 알리는 세 번째 시리즈다.

압록강의 북한 여성과 아이. 여성의 뒤에 요소비료라고 쓴 한국산 비료마대가 눈에 띈다./강동완 교수
압록강의 북한 여성과 아이. 여성의 뒤에 요소비료라고 쓴 한국산 비료마대가 눈에 띈다./강동완 교수

압록강에 몸을 담그로 종일 허리 굽혀 일하던 북한 여성의 뒤에 널린 빨래 더미 사이로 요소비료라고 쓴 비닐포대가 보인다. 한국산으로 보이는 이 비료포대는 비닐 한 자락도 쉬이 버리지 못한 채 긴요하게 쓰이는 압록강변 북한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노역에 동원된 북한 어린이가 마대를 메고 있다/강동완 교수
노역에 동원된 북한 어린이가 마대를 메고 있다/강동완 교수

강 교수는 “평양은 도시로서의 중심부를 넘어 체제와 정권의 상징이고 북한 주민들조차 아무 때나 누구나 갈 수 있는 곳이 아니다”며 “번듯한 외형 뒤에 숨겨진 수많은 사람의 절규는 아랑곳하지 않고 아름다움이 오히려 고통이 되는 분단시대의 모순이 서글플 따름”이라고 전했다.

북한 경비대원이 쌍안경을 보고 있다/강동완 교수
 
북한 경비대원이 쌍안경을 보고 있다/강동완 교수

양강도 혜산과 평안북도 신의주 등 북중 국경지역 주민들의 고단한 삶의 모습과 탈북 방지를 위해 경비중인 군인들의 모습도 담겼다.

농사일에 동원된 북한 학생들/강동완 교수
 
농사일에 동원된 북한 학생들/강동완 교수

특히 여름철 교실이 아닌 논밭에서 고된 농사일에 동원된 학생들의 모습이 눈에 띈다. 농촌체험활동이니 체험학습이라는 말은 아이들에게 너무 사치스럽고 낭만스러운 표현처럼 들린다.

마대를 멘 여성군인과 군용차량/강동완 교수
 
마대를 멘 여성군인과 군용차량/강동완 교수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