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대전 현충원에서 열린 연평도 포격전 10주기 추모식에 참석한 고 문광욱 일병 유가족들이 분향 후 영정을 어루만지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대전 현충원에서 열린 연평도 포격전 10주기 추모식에 참석한 고 문광욱 일병 유가족들이 분향 후 영정을 어루만지고 있다. /연합뉴스

10년 전 어제 북한이 서해 연평도에 170여 발의 장사정포와 해안포를 퍼부어 우리 해병대원 2명과 민간인 2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연평도 주민들의 집과 숲을 불태웠다. 1953년 휴전 이후 최초로 대한민국 영토를 직접 포격해 우리 국민을 살상(殺傷)한 도발이었다. 선전포고 없는 기습 전쟁 개시와 다를 게 없었다. 우리 군도 80여 발을 응사했다. 그해 북은 김정은 3대 세습을 공식화하면서 3월 천안함 폭침에 이어 연평도 포격까지 저질렀다. 이 세계에서 그 어떤 대통령과 총리도 이런 날을 마치 없는 날처럼 보내지는 않는다. 모든 나라의 군 통수권자는 직접 전사자를 추모하고 유족을 위로하고 도발자에게 경고할 것이다. 그런데 23일 문재인 대통령은 휴가를 갔다. 청와대도 아무런 메시지를 내지 않았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연평도 10주기를 언급하며 “분단의 가슴 아픈 현실”이라고 했다. 북의 도발을 규탄하는 대신 ‘분단 탓’으로 돌린 것이다. 과거 주사파 운동권이 북 도발을 물타기할 때 ‘분단 탓’을 했다. 이 장관은 대북 경고는커녕 “(북이 폭파한) 남북 연락사무소 통신 재개” “평양을 비롯한 개성·신의주·나진 대표부 설치”를 강조했다. 4대 그룹 대표들에겐 “남북 경협이 예상보다 빠르게 시작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이런 얘기를 왜 하필 연평도 10주기에 꺼냈느냐는 질문에 통일부는 “우연”이라고 했지만 우연이 아닐 것이다.

2020년 11월 23일 오후 인천시 옹진군 연평도 평화공원에서 연평도 포격전 10주기 추모행사가 열리면서 고 서정우 하사의 유가족이 서 하사를 추모하고 있다. / 장련성 기자
 
2020년 11월 23일 오후 인천시 옹진군 연평도 평화공원에서 연평도 포격전 10주기 추모행사가 열리면서 고 서정우 하사의 유가족이 서 하사를 추모하고 있다. / 장련성 기자

한두 번이 아니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3년 연속 6·25 기념식 당일 행사에 불참했다. 6·25 호국 영령을 추모하는 현충일 기념사에서도 3년간 ‘6·25’와 침략 주체인 ‘북한’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6·25 남침 전범의 손자가 김정은이기 때문일 것이다. 천안함·연평도 전사자 등을 기리는 ‘서해 수호의 날’ 행사에도 계속 불참하다 총선을 앞둔 올해에만 참석했다. 그러나 기념사에선 ‘북한’이란 단어를 또 끝내 쓰지 않았다. 청와대는 천안함·연평도 유족을 불러놓고 문 대통령과 김정은이 손을 맞잡은 사진 책자를 나눠주기도 했다. 한 유가족은 “충격을 받아 급체했다”고 했다.

연평도 전사자인 고(故) 서정우 하사 어머니는 이날 해병대 주관 추모식에서 “평화라는 이유로 북한 도발을 애써 외면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어 안타깝다”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에 당당하게 사과를 요구하는 것이 (순국한) 두 해병의 영혼에 대해 국가가 해줘야 할 최소한의 의무”라고 했다. 틀리는 말이 없다.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