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조선 무능한 처사로 남북관계 풍비박산…보복은 우리의 국론"

2000년 6월 김대중 대통령이 평양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고 있다.
2000년 6월 김대중 대통령이 평양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고 있다.


북한 관영 매체들이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맞은 15일 "서릿발치는 보복 행동은 계속될 것"이라며 또 압박했다. 북한은 지난 4일 김여정의 대북(對北) 전단 살포 비난 담화를 신호탄으로 열흘 넘게 대남 공세를 펼치고 있다. 6·15 남북 공동선언은 2000년 6월 15일 평양에서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정상회담을 통해서 발표한 공동 선언이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끝장을 볼 때까지 연속적인 행동으로 보복할 것이다' 제목의 정세론해설을 실어 대남 군사 무력 조치에 나설 방침을 거듭 드러냈다.

신문은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지난 13일 담화에서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철거를 위협한 것을 되풀이하며 "이미 천명한 대로 쓸모없는 북남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고 그다음 대적행동의 행사권은 우리 군대에 위임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무적의 혁명강군은 격앙될 대로 격앙된 우리 인민의 원한을 풀어줄 단호한 행동을 개시할 것"이라고 했다. 또 "최고존엄을 함부로 건드리는자들은 절대로 용서할 수 없다는 것이 우리 인민들과 인민군 장병들의 드팀 없는 의지"라며 "이 거세찬 분노를 반영하여 세운 보복 계획들은 우리의 국론으로 확고히 굳어졌다"고 했다.

2018년 4·27 판문점 선언 이후 2년여 시간이 흐르는 동안 남한 정부가 탈북자들의 대북전단 살포를 묵인했다는 주장도 했다. 노동신문은 "남조선 당국의 은폐된 적대시 정책과 무맥무능한 처사로 하여 완전히 풍비박산 나고 최악의 긴장 상태가 조성된 것이 오늘의 북남관계이고 조선반도"라며 "악취밖에 나지 않는 오물들을 말끔히 청소할 의지도, 그럴만한 능력도 없는 남조선 당국이 가련하기 그지없다"고 했다.

북한은 이날 오전 7시 30분 현재 어떤 매체를 통해서도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에 대한 기사를 싣지 않고 있다. 지난 13일 밤 김여정 담화로 대남 군사 조치를 예고한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6·15공동선언실천 북측위원회가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에 연대사를 보내 평화와 번영, 통일의 전성기를 함께 열자고 호소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는 모습. /TV조선 연합뉴스 영상 편집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는 모습. /TV조선 연합뉴스 영상 편집


앞서 지난 8일 선전매체 '조선의오늘'은 통일부의 6·15공동선언 20주년 행사를 '철면피한 광대극'으로 평가하면서 "기념행사나 벌인다고 해서 북남관계를 파탄에 몰아넣고 조선반도 정세악화를 초래한 범죄 책임에서 절대로 벗어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김여정은 지난 4일 담화에서 대북전단 살포를 가리켜 "얼마 있지 않아 6·15 20돌을 맞게 되는 마당에 우리의 면전에서 꺼리낌 없이 자행되는 이런 악의에 찬 행위들"이라고 비난하면서 6·15를 언급했다.

정부는 2018년 남북 정상회담 개최 2년여만에 북한이 대남 도발 선전포고를 하는 등 남북 관계가 파국을 피할 수 없게 되자 당초 ‘평화가 온다’는 슬로건을 걸고 계획했던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 기념식을 축소해 열기로 했다.
유엔 대북제재위원회가 2019년 3월 13일 공개한 전문가 패널 연례보고서에 실린 사진. 유엔 대북제재위는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9월 18일 방북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 탑승한 벤츠 리무진 차량을 북한의 제재 위반 사례 중 하나로 지목했다. 유엔 대북제재위는 보고서 작성을 위해 청와대 경호처에 해당 차량의 연식과 제원 등을 문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유엔 보고서에서 이 사진을 빼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나 결국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
유엔 대북제재위원회가 2019년 3월 13일 공개한 전문가 패널 연례보고서에 실린 사진. 유엔 대북제재위는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9월 18일 방북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 탑승한 벤츠 리무진 차량을 북한의 제재 위반 사례 중 하나로 지목했다. 유엔 대북제재위는 보고서 작성을 위해 청와대 경호처에 해당 차량의 연식과 제원 등을 문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유엔 보고서에서 이 사진을 빼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나 결국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15/2020061500437.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