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14.5mm 고사총으로 장성택·현영철 등 숙청
기관총 4개 묶은 對空화기, 분당 1200발 발사 가능
일각선 "1.5㎞ 떨어진 GP, 실수로 4발 맞추긴 어려워"

김정은이 북한 군 시설에서 고사총을 만져보고 있다. /조선일보 DB
김정은이 북한 군 시설에서 고사총을 만져보고 있다. /조선일보 DB


북한군이 지난 3일 비무장지대(DMZ)의 한국군 최전방 감시소초(GP)에 총격을 가할 때 사용한 화기는 ‘14.5㎜ 고사총’으로 4일 알려졌다. 군 소식통은 이날 “우리 GP에서 발견된 북 총탄이 14.5㎜인 것으로 안다”면서 “북한군은 과거 DMZ 도발 때도 14.5㎜ 고사총을 여러 차례 사용했다”고 말했다.

상당수 군사 전문가들은 “단순 개인화기가 아니라 헬리콥터 등 비행체를 겨냥하는 대공화기인 고사총은 작동원리상 우발적 실수로 여러 발을 발사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우리 군이 북한의 GP 총격을 ‘우발적 사고’ 쪽에 무게를 두고 설명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복수의 군 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북한군은 GP마다 고사총을 1정씩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2014년 10월 한국 한 민간단체가 대북 전단을 실은 풍선을 날리자 이를 저지하기 위해 사격한 화기도 고사총이었다.

고사총은 2011년 12월 김정일 사망으로 갑자기 집권하게 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권력 공고화를 위해 ‘피의 숙청’을 벌이던 집권 초기 처형장에 자주 동원했던 화기로 유명하다. 2013년 12월 김정은의 고모부인 장성택 노동당 행정부장, 2015년 4월 현영철 인민무력부장 등이 고사포 수십발을 맞고 잔인하게 처형된 것으로 알려졌다.

2015년 5월 국회 정보위에서 한기범 당시 국가정보원 1차장은 “북한이 현영철을 체포한 지 3일 만에 평양 순안구역 소재 강건종합군관학교 사격장에서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고사총으로 총살했다는 첩보가 있다”고 보고했다.

북한군은 과거 휴전선 부근에 일어난 국지적 교전에도 14.5㎜ 고사총을 여러 차례 동원했다. 2010년 10월 북한군은 강원도 화천 지역의 우리 측 GP를 향해 두 발의 고사총을 발사했고, 2003년 7월 경기도 연천 GP에서 일어난 총격전에도 이 무기를 동원했다.

고사총은 북한이 전투기와 헬리콥터 등 비행체를 겨냥해 개발한 대공화기다. 옛 소련에서 들여온 구경 14.5㎜의 중기관총 4개를 한데 묶어 명중률과 파괴력을 높였다. 분당 1200발을 쏠 수 있고, 최대사거리 5㎞에, 1.4㎞ 상공에 있는 목표물을 때릴 수 있다.
한국군 GP를 감시하는 북한 GP 초병의 모습. /조선일보 DB
한국군 GP를 감시하는 북한 GP 초병의 모습. /조선일보 DB

이번에 총격 사건이 일어난 철원 3사단 우리 군 GP와 인근 북한군 GP들 사이의 거리는 1.5~1.9㎞다. 오발 사고였다면 이 정도 떨어진 목표물을 한 발도 아니고 여러 발 맞추기가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우발적 사고’를 주장하는 합참의 설명에 의문이 남는 이유다.

일각에선 북한군이 유사시 즉각 대응을 위해 우리 GP를 겨냥해 고사총을 고정해 놓는 관행을 거론한다. 이 상태에서 총기 정비 등을 하다가 오발 사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고사총 등의 중화기의 경우 오발 사고 방지를 위해 2중, 3중의 안전 장치가 마련돼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안전 모드’에 있는 총기를 격발 가능 상태로 전환하려면 여러 차례 조작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단순 오발 발생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는 이번 사건의 진상 파악을 위해 이날 현장에 특별조사팀을 파견할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04/2020050402115.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