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101주년 기념사 뭘 담았나]
文 "6·25 참화때도 3·1절 기념식, 흔들리지 않는 나라 만들겠다"
'함께'만 12번 단합 강조… 역대 대통령 영상선 MB·박근혜 빠져
만세 삼창때 태극기 대신 한반도기 든 김구 재연 영상도 논란
 

문재인 대통령은 1일 3·1절 101주년 기념식에서 우한 코로나 극복을 위한 국민적 단합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안으로는 당면한 '코로나19'를 극복하고 밖으로는 '한반도 평화'를 이뤄 흔들리지 않는 대한민국을 만들어낼 것"이라며 "그것이 진정한 독립이며 새로운 독립의 완성"이라고 했다.
 
이미지 크게보기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일 서울 종로구 배화여고에서 열린 제101주년 3·1절 기념식에 참석해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김원웅 광복회장, 문 대통령, 김 여사, 문희상 국회의장.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과거 3·1절 기념사와 달리 이날 기념사에선 일본과 북한 문제 대신 우한 코로나를 주로 다뤘다. 하지만 북한 문제는 방역과 연결하는 방식으로 빠트리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북한과 보건 분야의 공동 협력을 바란다"며 "사람과 가축의 감염병 확산에 남북이 함께 대응하고 접경지역의 재해재난과 한반도의 기후변화에 공동으로 대처할 때 우리 겨레의 삶이 보다 안전해질 것"이라고 했다. 북한은 우한 코로나 '청정지대'임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 북한 상황은 공개된 것이 거의 없다. 문 대통령은 우한 코로나 대처에서 주변 국가와의 협력을 강조했다. 중국인 입국 금지 요구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북한은 물론 중국, 일본, 동남아 국가들과 협력을 강화해야 비전통적 안보 위협에 대응할 수 있다"며 우회적으로 입국 금지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일본 비판 수위는 예년 같지 않았다. 한·일 간 현안인 징용 배상이나 수출 규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에 대해서도 구체적 언급을 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일본은 언제나 가까운 이웃"이라며 "함께 위기를 이겨내고 미래 지향적 협력 관계를 위해 같이 노력하자"고 했다. 문 대통령은 "과거를 잊지 않되 우리는 과거에 머물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작년 3·1절에 "친일잔재 청산은 너무나 오래 미뤄둔 숙제"라며 반일 목소리를 높였던 것에 비해 수위가 낮아졌다.

청와대는 우한 코로나로 당초 대규모로 기획했던 3·1절 기념식 대신 3·1절 1주년에 만세 운동이 벌어졌던 서울 배화여고에서 소규모로 행사를 치렀다. 작년 기념식에는 1만여명 참석했지만 이날은 문 대통령 부부를 포함해 50여명이 참석했다. 정세균 총리, 진영 행정안전부장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대구 방역 때문에 불참했다. 문 대통령은 "1951년 한국전쟁 참화 속에서도, 외환 위기가 덮쳐온 1998년에도, 지난 100년간 우리는 단 한 번도 빠짐없이 3·1 독립운동을 기념하며 단결의 큰 힘을 되새겼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를 이겨낼 수 있고, 위축된 경제를 되살릴 수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대구·경북 지역에 이어지고 있는 응원과 온정의 손길이야말로 대한민국의 저력"이라며 "대구·경북은 결코 외롭지 않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함께'라는 단어를 12번 사용하며 단합을 강조했지만, 정작 기념사 직후 상영된 역대 대통령들의 3·1절 메시지 영상에서는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이 빠졌다. 윤보선·최규하 전 대통령의 메시지까지 영상에 담았지만,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은 물론 직전 정권 두 대통령의 기념사는 제외하며 '적폐 청산'을 강조했다. 태극기 대신 한반도기를 든 김구 선생도 논란이었다. 마지막 순서였던 '만세삼창'은 행사장 건물 벽면에 김구 선생과 유관순 열사, 홍범도 장군 대역 배우들의 영상이 상영되고 이를 따라 참석자들이 만세를 부르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그런데 김구 선생 역할을 한 배우는 "대한민국 만세"를 외치며 3·1운동 때 흔든 태극기가 아닌 당시 존재하지 않았던 한반도기를 흔들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홍범도 장군의 유해를 드디어 국내로 모셔올 수 있게 됐다"며 "봉오동 전투 100주년을 기념해 카자흐스탄 대통령의 방한과 함께 조국으로 봉환해 안장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우한 코로나 사태로 카자흐스탄 대통령의 방한이 불투명해 홍 장군의 유해 송환 시기는 기약없는 상황이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02/2020030200204.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