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접속이 금지된 북한에서 지난 3년간 인터넷 사용량이 300%가량 늘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유엔의 대북제재를 피해 자금을 이동시키려 익명성이 강한 암호화폐를 채굴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보안업체 '레코디드 퓨처'는 9일(현지시각) 발간한 '북한은 어떻게 인터넷을 불량정권을 위한 도구로 만들었나' 보고서에서 지난해 1월 1일부터 11월 1일까지 인터넷프로토콜(IP)과 네트워크 트래픽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변화가 감지됐다고 밝혔다.

북한은 주민의 인터넷 접근을 철저히 차단하고 내부 통신망(인트라넷) 사용만 허용한다. 다만 극소수 필요한 기관에만 인터넷 사용을 허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DB
조선DB

보고서는 "2017년까지만 해도 북한의 인터넷 사용 시간대가 주말과 늦은 오후, 저녁에 집중됐지만 이제는 평일에도 사용된다"며 북한이 인터넷을 이용해 암호화폐 채굴과 블록체인 기술 연구, 금융범죄 등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또 보고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을 인용해 "그동안 적어도 35개국의 금융기관과 암호화폐 환전소가 북한의 사이버 공격을 당했다"며 김정은 정권으로 흘러 들어간 피해액이 20억달러(약 2조37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보고서는 북한이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모레노 등 암호화폐 채굴과 절취, 생산 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봤다. 보고서는 "지난해 5월 들어 북한의 모레노 채굴이 전년 대비 10배나 늘었다"며 "모레노는 비트코인보다 익명성이 강하며, 신규 채굴이 거의 불가능한 비트코인과 달리 채굴이 쉽다"고 설명했다.

레코디드 퓨쳐 소속인 프리실라 모리우치 전 국가안보국(NSA) 동아시아 태평양 사이버 안보담당관은 미국의소리(VOA) 방송 인터뷰에서 "모레노는 본질적으로 은닉에 초점을 맞춘 암호화폐다. 비트코인과 달리 오직 송신자와 수신자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모레노의 이런 특성을 이용해 국제금융 시스템의 감시를 피하고 유엔 대북제재를 회피해 자금을 이동시킬 수 있다"면서 "미국은 역내 관계국들과 공조해 대북제재망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2/11/2020021101461.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