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 좋아질 것’ 71.8%→46.6%
‘북한, 경계·적대 대상’ 18.4%→35.8%
20대男 60.4%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 불만족"

남북 관계를 낙관적으로 전망하는 서울시민이 작년보다 급격히 줄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26일 통일연구원의 ‘남북 문화 교류 방향 모색’ 보고서에 따르면, 5년 후 남북 관계가 ‘좋아질 것’이라는 서울시민 응답률은 46.6%였다. 연구원은 "지난해 12월 서울시 조사에서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71.8%에 달했는데, 이번 조사에서 46.6%만이 낙관적 견해를 보였다"며 "약 25%에 달하는 서울시민의 남북 관계 전망이 다소 부정적으로 변화했다"고 분석했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견학이 재개된 지난 5월 1일 관광객들이 지난해 4·27 남북정상회담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이 대화를 나눈 도보다리를 견학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견학이 재개된 지난 5월 1일 관광객들이 지난해 4·27 남북정상회담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이 대화를 나눈 도보다리를 견학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연구원에 따르면 △남북 관계가 ‘비슷할 것’이라는 의견은 지난해 23.6%보다 올해 42.8%로 비율이 높아졌고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은 지난해 4.6%보다 올해 10.6% 6.0%P(포인트) 늘었다.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시민은 줄었고,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시민은 늘었다는 뜻이다.

보고서를 쓴 나용우 통일연구원 박사는 "지난 2월 북미 하노이 협상이 결렬된 이후 남북 관계가 교착에 빠졌고, 지난 5월부터 단거리 미사일 발사가 이어지면서 대북 인식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이어 "남북 관계가 오랫동안 경색되던 시기보다는 여전히 긍정 인식이 높지만, ‘김정은 답방’ 얘기도 나오던 작년과 비교하면 열기가 식은 것"이라고 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2018년도에 시민들이 붙잡고 있었던 과도한 희망고문이 좌절된 것 같다"며 "하노이 회담 결렬 이전 정부가 보여준 성과들에 대한 기대가 너무 컸던 게 아닌가 싶다"고 했다.

북한을 우호적으로 인식하는 서울시민은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 우리에게 어떤 대상인지 묻자 서울시민 55%가 ‘협력대상’이라고 답했다. 이어 △경계대상(22.0%) △적대대상(13.8%) △지원대상(7.0%) △경쟁대상(2.2%) 순이었다.

그러나 작년과 비교하면 긍정 인식이 줄고, 부정 인식이 늘었다. 연구원은 "북한을 협력대상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는 60.2%에서 55%로 약 5%P 줄었고, ‘경계·적대 대상’ 응답자는 18.4%에서 35.8%로 약 17%P 확대됐다"고 했다.

또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50.4%, ‘불만족한다’는 응답은 49.6%로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평가는 30대(56.7%)와 40대(54.7%)에서 우세했고, 부정평가는 20대(52.3%)와 50대 이상(54.1%)에서 많았다. 특히 20대 남성(60.4%)은 전 연령층 가운데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을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대북정책 중 가장 시급한 것이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는 북한의 비핵화(52.6%)가 1순위였다. 이어 군사적 긴장 완화(18.0%), 남북간 경제협력(10.2%), 평화협정 체결(7.6%) 등이 뒤를 이었다.

연구원은 "남북교류협력 필요성에 69%가 공감했고, 2032년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 개최에 69.6%가 찬성했다"면서도 "시민 과반수가 북한 비핵화를 대북정책 최우선 순위로 꼽는 한, 남북교류협력에 대한 지지와 참여를 확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이어 "시는 ‘북한 비핵화를 위해 남북교류협력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통일연구원은 시장조사기관 코리아리서치와 함께 지난 7월 29일부터 지난달 1일까지 4일간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서울 25개 자치구를 4개 권역(강북서·강북동·강남동·강남서)으로 분류하고, 권역·성·연령별 비례 배분하는 방식으로 표본 500명을 설계했다. 표본오차는 95%의 신뢰수준에서 ±4.38%포인트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26/2019092601954.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