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 전날 사거리 공개 않고 "2발 중 1발 실패"
오늘 北매체 사진서 발사관 3개 열린 모습 포착
일각 "우리가 탐지 못했거나, 北 위장술일 수도"
北, '성공' 표현 없어…"연발 사격만 남았다" 주장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1일 전날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도 하에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했다며 관련 사진들을 보도했다. 전날 우리 군은 "단거리 발사체 2발이 포착됐다"면서 그 가운데 한 발은 내륙에 떨어진 것 같다고 했다. 그러나 이날 북한이 시험 사격을 마치고 찍은 것으로 추정되는 사진을 보면, 이동식 발사대의 4개의 발사관 중 1개만 입구가 막혀 있어 북한이 2발이 아닌 3발을 발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군은 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한국이나 미국의 정보자산으로 제대로 탐지가 안됐거나, 일부 방사포가 실패한 상황에서 분석 작업에 시간이 소요되고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북한이 방사포 발사에 일부 사실만 모호하게 공개해 우리 군의 정보 탐지 능력을 혼동시키려 한다는 말도 나온다.
 
북한이 지난 10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도 하에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했다고 북한 매체들이 11일 보도했다./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
북한이 지난 10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도 하에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했다고 북한 매체들이 11일 보도했다./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

이날 통신은 발사관 4개를 탑재한 이동식 발사차량(TEL)과 발사 장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임시 관측소에서 발사 장면을 지켜보는 모습 등을 공개했다. 통신이 공개한 사진 중 발사하는 순간을 포착한 것을 보면 4개의 발사관 중 3개가 빨간색 전면 캡(뚜껑)으로 막혀 있고, 나머지 발사관 1개에서 발사체가 화염을 뿜으며 치솟고 있다. 그런데 시험사격을 마치고 찍은 것으로 추정되는 사진에선 전면 캡이 1개만 남아있으며, 후면 캡도 1개만 남아 있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사진으로만 보면 3발이 발사됐을 가능성이 높다"며 "지난 8월 24일 발사한것과 마찬가지로 600mm방사포로 보인다"고 했다.

전날 합참은 "북한이 10일 오전 6시 53분, 7시 12분 평안남도 개천 일대에서 동쪽으로 미상의 단거리 발사체 2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군사 전문가들은 나머지 1발의 경우 발사된 후 한미 정찰자산의 탐지 고도까지 날지 못하고 추락 또는 폭발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북한도 이번 시험 사격과 관련해 "두 차례에 걸쳐 시험사격이 진행됐다"고 밝혔지만 '두 차례'의 의미가 2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연장 방사포 특성상 2발을 한번에 쏘고 그 다음에 나머지 1발을 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중앙통신 홈페이지가 공개한 사진에서 4개의 발사관 중 1개에서 발사체가 화염을 뿜으며 치솟고 있으며 나머지 발사관 3개의 입구를 빨간색 뚜껑이 덮고 있다(위쪽 사진). 그런데 시험사격을 마치고 찍은 것으로 추정되는 사진을 보면 빨간색 뚜껑이 1개만 남아있어 북한이 3발을 발사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아래쪽 사진)./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
중앙통신 홈페이지가 공개한 사진에서 4개의 발사관 중 1개에서 발사체가 화염을 뿜으며 치솟고 있으며 나머지 발사관 3개의 입구를 빨간색 뚜껑이 덮고 있다(위쪽 사진). 그런데 시험사격을 마치고 찍은 것으로 추정되는 사진을 보면 빨간색 뚜껑이 1개만 남아있어 북한이 3발을 발사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아래쪽 사진)./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

또 이번 발사에선 북한 매체들이 시험 사격 소식을 보도하면서 '성공'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이 주목된다. 북한은 그간 미사일이나 방사포를 쏜 후 보도를 통해 "이번 시험사격에서도 완벽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세계적인 최강의 우리식 초대형 방사포를 연구 개발해내는 전례없는 기적을 창조했다"는 등의 표현을 썼다.

그러나 이날 북한 매체들은 "또다시 진행된 초대형방사포 시험사격은 시험사격 목적에 완전부합되었으며 무기체계완성의 다음 단계 방향을 뚜렷이 결정짓는 계기가 되었다"고만 했다. 또 "(김 위원장이) 방사포의 위력상 가장 뚜렷한 특징으로 되는 연발 사격시험만 진행하면 될 것이라는 평가를 내리시었다"고도 했다. 방사포는 한 번에 또는 단시간에 여러 발을 빠르게 발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를 위한 추가 시험발사가 이뤄질 경우 타격 능력이 완성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북한이 지난 10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도 하에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다시 했다고 북한 매체들이 11일 보도했다. 발사관 후면 역시 4개 중 3개가 열려있다./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
북한이 지난 10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도 하에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다시 했다고 북한 매체들이 11일 보도했다. 발사관 후면 역시 4개 중 3개가 열려있다./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

북한 매체들은 이날 목표물 타격 장면도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방사포탄이 목표물에 명중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북한 매체들은 지난 8월 17일 '북한판 에이태킴스(ATCMS)'로 보이는 미사일이 동해상의 작은 바위섬을 정확하게 타격하는 장면을 담은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었다. 이와 관련, 전날 복수의 정부 소식통은 발사된 단거리 발사체 두 발 중 한 발이 내륙에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북한이 전날 방사포 시험사격을 한 것은 올 들어 10번째 도발이다. 북한은 지난 5월 이후 '북한판 이스칸데르', '북한판 에이태킴스(ATCMS)'로 불리는 탄도 미사일 2종과 400㎜급 대구경·초대형(500~600㎜급) 방사포 등 방사포 2종을 시험 발사해왔다. 북한이 이 4종의 신형 미사일과 방사포를 섞어 쏘면 F-35 스텔스기들이 배치된 청주기지, 경북 성주 사드 기지, 주한 미군의 심장부인 평택·오산기지 등이 무력화 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북한이 이번 방사포 발사를 일부 실패한 것으로 판명날 경우 올들어 공개 사격 시위 10차례 가운데 첫 실패가 나온 셈이다.
 
북한이 지난 10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도 하에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했다고 북한 매체들이 11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 뒤쪽으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의 모습이 보인다./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
북한이 지난 10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도 하에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했다고 북한 매체들이 11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 뒤쪽으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의 모습이 보인다./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11/2019091101200.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