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2일과 6일 각각 촬영한 북한 동창리 발사장 위성사진. 미세먼지 때문에 화질이 좋지 않지만 2일 발사장 중심부(1)에 있던 조립건물이 6일 80~90m 동남쪽 원래 위치(2번)로 옮겨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VOA 캡처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7일(현지시각) "동창리 발사장 내 이동식 조립건물이 작년 7월 해체되기 전 자리로 원상복귀했다"고 보도했다.

VOA는 민간 위성업체 ‘플래닛 랩스(Planet Labs)’의 6일자 위성사진을 살펴본 결과 "발사장 내 조립건물이 동쪽으로 80~90m 이동해 해체 이전에 머물던 지점으로 옮겨졌다"며 "바로 옆에는 이동이 불가능한 주 처리 건물이 있다"고 전했다.

이 조립 건물은 로켓 등 발사체를 수직으로 세워 발사대로 옮기는 작업을 하는 공간이다. 지난해 7월 해체된 이후 건물 자재들이 발사장 중심부에 놓여있는 모습이 인공위성에 포착됐었는데, 지난달 중순을 기점으로 공사 움직임이 이 자재들이 옮겨지는 등 공사 움직임이 있었다.

군사전문가이자 위성사진 분석가인 닉 한센 스탠포드대학 국제안보협력센터 객원연구원은 VOA와의 인터뷰에서 "조립 건물이 약 2주라는 짧은 기간 안에 원래 자리로 되돌아 갔다는 것은 건물의 이동에 필요한 선로 등이 한 번도 해체된 적이 없다는 뜻"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공개된 위성사진에서 동창리 발사장 내 해체된 자재들이 가지런히 땅에 놓여있었는데 언제든 다시 조립해 재가동하기 위한 것"이라며 "건축 자재들은 각각 개별 번호가 매겨져 관리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임스 마틴스 비확산센터의 데이비드 슈멀러 연구원도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위성 사진을 분석해보면 지난달 18~23일 사이 각종 재료들이 동창리 시설에 도착했고, 26일 조립건물이 재조립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2차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압박을 가하기 위해 복구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북한은 과거에도 폐기를 약속한 시설을 일부 만 해체한 뒤, 협상에 진전이 없을 때 압박 수단으로 활용해 왔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북한이 서해 장거리 미사일 발사장(동창리 발사장)을 신속 재건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북한 전문 매체 38노스도 지난달 16일부터 지난 2일 사이에 동창리 일부 구조물을 다시 짓는 작업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3/07/2019030700840.html

저작권자 © 조선일보 동북아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